"냉전은 한참 지난 '역사의 유물'이라고 여겼는데 한국의 비무장 지대(DMZ)를 찾아가 보니 아주 오싹하고 기괴해 두고두고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시 크레스트힐 고교의 사회 교사인 수 블랜싯(62·여) 씨는 6일 연합뉴스와 만나 한국 방문 소감을 이 같이 밝히면서 "이번 방문이 앞으로 한국에 대해 더 잘 가르칠 좋은 기회가 됐다"고 덧붙였다.
전미 사회교사 협회 부회장인 그는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김병국)의 초청으로 지난달 27일 방한한 미국 중고교 교사와 교육 행정가 등 35명 중 한 명으로 '2010 미국 교육자 한국학 워크숍'에 참여한 뒤 7일 돌아갈 예정이다.
그는 울산의 현대미포조선소 방문 소감을 두고 "한국이 짧은 시간 내 기적 같은 경제 성장을 일궈낸 것을 잘 보여줬다"고 밝히고 "불과 석 달 전만 해도 LG전자가 한국 기업인 줄 몰랐는데 이제 제대로 알았다"고 덧붙였다.
이번 방문으로 생각이 바뀐 게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지난 10년간 댈러스에서 몇몇 한국 학생을 지도하면서 그들이 어떻게 '캐이씨'(Kathy) 같은 영어 이름을 갖게 됐는지, 자신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게 아닌지 의아했는데 이제야 그 이유를 알았다고 말했다.
"이곳에 와 한국 학교를 방문했을 때 한 학생에게 이름을 물었더니 한국 이름이냐, 영어 이름이냐를 되묻더라고요. 그 순간 한국 학생들이 영어 이름을 따로 갖고 있고 그게 세계화에 대응하는 한국인의 생활방식이란 걸 깨달았어요."
그는 또 "인도나 중국 같은 곳과 달리 한국에서는 전통의상인 한복을 입고 다니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며 "한국은 이미 서구 사회나 다름없다"고 부연했다.
한편으로는 비가 오는데도 일정을 예정대로 진행하는 것을 보고 놀랐다며 "미국 같으면 비가 내리면 일정을 바꾸거나 취소하는 데 여기에선 우산을 쓰거나 비옷을 입고 아무렇지도 않은 듯 '자 갑시다'라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학생들이 하루에 12시간씩 공부하고 고교생의 99%가 졸업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매우 놀랐다며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70~75% 고교생만 졸업하는 미국의 교육 체계가 한국의 교육 체계와 절반쯤 섞였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한 소감을 별도의 보고서로 만들어 오는 11월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리는 전미 사회교사 협회 연례 총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