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스포츠클럽 확대가 조급히 추진된 만큼 스포츠클럽 활동의 ‘질’ 담보가 중요합니다. 강사들이 본인의 스포츠 실력을 전달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적 책임감을 가지고 임해야 전인적인 스포츠 지도가 될 수 있어요”
토요 스포츠강사 연수를 하는 권민정(35·사진) 중앙대 학교체육연구소 전임연구원은 스포츠 강사의 교육적 마인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부분의 스포츠강사들이 외부 생활체육 지도자였기 때문에 학교 현장 경험이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권 연구원은 또 스포츠클럽활동이 인성교육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의도’를 가지고 교육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스포츠클럽을 통해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폭력성을 발산할 수 있지만, 인성함양에도 효과를 거두려면 강사들이 지도과정에서 의도적으로 관용, 예의, 우정, 존중과 같은 가치들을 드러내야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한때 검도 국가대표 선수로 선발되기도 했던 권 연구원은 “스포츠를 통해 이겼을 때, 졌을 때의 감정을 다스리고 상대 선수를 존중하는 법을 배웠다”며 “대부분의 강사들도 학교 현장에서 이러한 부분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뒀으면 좋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