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그림이어도 각기 다른 해석
생각 구체화하며 깊은 학습 유도
중·하위권 학생들도 즐겁게 참여
교과는 물론 인성교육에도 활용
“사례집 발간, 전국에 보급할 것”
“수업은 요리입니다. 오늘의 수업 내용을 어떻게 전달할지 방법적인 측면에 있어 교사는 다양한 수업방법, 즉 레시피를 갖고 있어야 해요. 여기서 비주얼 씽킹(Visual thinking)과 같은 도구들은 양념에 해당합니다. 양념이 다양해야 수업을 더 맛있게 요리할 수 있겠죠? 바로 이런데서 교사의 역량이 결정 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주얼 씽킹이란 자신의 생각을 스케치, 드로잉, 도표 등 외적인 시각자료를 통해 표현하고 공유하는 것으로 최근 기업체를 중심으로 각광받고 있는 기법이다. 이를 학교 현장에 처음으로 도입, 적용하고 있는 교사들이 있다. 비주얼 씽킹 수업연구회(회장 우치갑 경기 늘푸른중 수석교사)가 그 주인공이다.
이 연구회는 초·중등 교사들의 전국 모임으로 지난해 10월 결성됐다. 지금까지 총 3차례 워크숍을 실시했고 네이버 밴드에서 150여 명의 교원들이 다양한 수업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생각을 SHOW하라! 수업사례로 보는 비주얼 씽킹’ 창간호를 발간하고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구회를 결성한 우치갑 수석교사는 “수업에 활용할 도구들을 찾다 인터넷에서 우연히 비주얼 씽킹을 발견했다”며 “추상적인 개념과 정보를 구체적으로 만들어준다는 사실에 매력을 느껴 본격적으로 자료를 찾고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비주얼 씽킹의 가장 큰 장점으로 중하위권 학생들까지 모두가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점을 꼽았다. 단순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색연필, 사인펜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그림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때문에 수업시간에 잠자는 학생들도 없어졌고, 교사 역시 다양한 결과물을 비교하며 즐겁게 수업 할 수 있다는 것.
비주얼 씽킹 활용 수업은 우선 이 활동이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을 위해 이미지를 보고 이를 자신이 이해하고 해석한 방식대로 다시 그려보는 연습활동을 하면서 시작된다. 생김새가 다른 네 명의 어린이가 서 있는 그림을 보고 어떤 아이는 ‘인종차별’을 떠올리고 어떤 아이는 우리 반 친구들을 떠올리는 것과 같이 같은 그림을 보고도 이를 이해하는 것은 각기 다름을 알 수 있다.
비주얼 씽킹은 이미 기업 현장에서는 널리 활용되고 있다. 니시무라 가쓰미의 ‘그림으로 디자인하는 생각정리 업무기술’, 댄 로암의 ‘생각을 Show 하라’, 비주얼 씽킹에 활용되는 기본적인 도형, 선 등을 그리는 방법이 담긴 ‘비카블로(Bikablo)’ 등 관련 서적도 상당 수 출간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기법을 수업에 적용한 사례는 지금까지 없었다.
우 수석교사는 “비주얼 씽킹을 수업에 맞게 변형하고 액션러닝이나 씽킹 맵, 스마트교육 등 최신 교육 트랜드를 융합해 교과별로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같은 비주얼 씽킹이지만 교과목에 따라 활용되는 성격이나 방법은 조금씩 다르다.
지난 워크숍에서 수학부문 사례발표를 한 허은하 경기 늘푸른중 교사는 정육면체, 구, 파이, 삼각자 등 여러 가지 수학적 용어를 이용해 자신의 이름을 표현하는 수업을 진행했다. 도덕과 수업을 진행한 이영옥 천보중 수석교사는 ‘아름다운 가치 사전 만들기’를 실시했다. 활동지 왼쪽 편에는 자신이 생각하는 ‘배려’란 어떤 의미인지 적고 우측면에 이를 설명하는 그림을 그려보는 활동이다.
일반 교과뿐만 아니라 진로수업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이 수석교사는 진로 시간에 ‘진로 로드맵’ 그리기 활동을 했다. 진로탐색 시간에 자신의 진로에 대한 설계를 구상해보고 글과 그림을 이용해 로드맵으로 정리해보는 것이다.(아래 사진)
우 수석교사는 “방법은 각기 다르지만 이처럼 수업시간에 비주얼 씽킹을 적절히 활용하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그날 배운 내용을 시각화해 정리하면서 더 오래 기억에 남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림은 추상적 개념과 정보를 구체적으로 만들어주고 뇌는 그런 생각을 신속하게 흡수해 더 깊은 학습이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업시간 45분 내내 비주얼 씽킹만 활용하는 것은 금물. 우 교사는 “계속 그림만 그리다보면 아이들이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사고의 발전에도 한계가 생기기 때문에 보통 수업시간이라면, 언어적사고 활동 15분, 시각적 언어활동 15분, 나머지 10분 정도는 서로 공감하고 나누는 시간으로 쓰면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늘푸른중에서 우 교사를 만난 2일에도 정연관 충남 예산여고 수석교사가 비주얼 씽킹 개인연수를 받기위해 자리를 함께했다.(위 사진) 정 교사는 “학교로 돌아가면 비주얼 씽킹과 인성교육을 접목할 생각”이라며 “진정한 수업은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라 생각하는데 배운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보며 자기 것으로 만드는 과정 자체가 인성교육의 효과를 주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술치료를 통해 정서순화 효과를 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우 교사는 “이 도구를 학교 현장에 처음 도입하고 세 번의 워크숍을 경험하면서 교사들 대부분이 ‘나도 해보고 싶다’는 의사표시를 해왔던 것이 가장 뿌듯한 일이었다”고 말했다. 다른 학습도구들에 비해 활용하기 쉽고 효과 또한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초·중·고 대학, 일반인을 막론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파급효과도 크다.
그는 “앞으로도 매 학기마다 사례집을 발간해 전국에 보급하는 것이 목표”라며 “즐겁고 재밌는 수업을 연구하고 싶은 선생님들의 많은 참여를 기다린다”고 덧붙였다. 연구회 가입을 원하는 교원은 g88@daum.net 이메일로 지역과 소속 학교, 이름, 전화번호를 적어 보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