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4.8℃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4.0℃
  • 구름조금대전 24.4℃
  • 맑음대구 20.9℃
  • 맑음울산 19.9℃
  • 구름많음광주 23.9℃
  • 맑음부산 19.4℃
  • 구름많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23.8℃
  • 구름조금강화 21.0℃
  • 구름조금보은 20.6℃
  • 구름많음금산 24.3℃
  • 구름많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1.8℃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교육이 잘못된 것인가. 선발이 잘못된 것인가.

지난 11일에 이은실 리포터의 기사인 '영재 선발을 다시 생각한다'라는 기사를 공감하면서 읽었다. 정말 영재교육이 이렇게 가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생각을 했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센터에서 일어난 일이지만 쉽게 웃어 넘기기에는 뭔가 찜찜한 문제 하나를 지적하고자 한다.

며칠전에 동작영재교육센터인 우리학교(서울 대방중학교, 교장: 이선희)에서 있었던 일이다. 2006학년도의 영재교육을 마치고 2007학년도 신입생 선발을 위해 선발고사를 실시하였다. 이미 1,2차 시험이 실시되었었고, 최종 합격자를 뽑기 위해 실시된 마지막 3차 시험이었다. 물론 우리학교는 미술영재교육센터이다. 이번의 선발고사는 동작영재교육센터 중 미술, 수학, 과학분야 모두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여러 학교에서 실시하는 것 보다는 한 학교에서 실시하는 것이 업무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교육청의 판단에 의해서였다.

시험이 모두 끝나고 합격자를 가리기 위해 심사위원들이 넘겨준 점수를 엑셀을 이용하여 집계하는 작업을 리포터가 하였다. 모든 작업을 마치고 합격자를 선정하였다. 그런데 여기에서 웃지못할 일이 발생하였다. 지난해(2006년도)에 영재교육센터에 입학하여 거의 1년동안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들 중 상당수가 탈락한 것이다. 상식적으로 볼때는 지난해에 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당연히 모두 합격해야 한다. 그런데 탈락자가 상당수 나온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각 분야의 영재교육팀장에게 물었다. '영재교육이 잘못된 것입니까? 아니면 애시당초 영재선발이 잘못된 것입니까? 많은 인원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기존의 학생들은 모두 합격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이미 1년여 동안 영재교육을 받았다면 올해 응시한 학생들보다 한 수 위의 실력을 갖췄어야 하는 것 아닙니까?' 영재교육팀장들 모두 답변이 궁한 눈치였다. 그중 미술영재교육팀장이 입을 열었다. '충분히 그렇게 볼 수 있습니다. 당연한 말씀입니다. 굳이 변명을 하자면 지난해의 심사위원과 이번의 심사위원이 다릅니다. 아무래도 심사위원이 모두 미술 전문가이긴 하지만 보는 관점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사위원이 달라졌으니 보는 관점이 다를 수 있다는 점에 공감을 했다.

미술은 그렇다 치고 다른 분야는 왜 그런일이 발생한 것인가. 의문이 계속 남는다. 미술에 비해 지난해 이수한 학생이 불합격한 비율이 높지 않았으나 그런일이 발생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미술은 주로 실기평가를 실시했지만 수학이나 과학은 모두 필기시험을 실시했고, 3차역시 간단한 구술시험이 아니고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져 실력있는 학생들은 합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탈락한 학생들이 발생한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리포터는 여기서 영재교육의 문제점을 발견했다. 즉 심사위원이 바뀔 때마다 보는 관점이 다르다는 것은 심사위원에 따라 기준이 바뀐다는 뜻이다. 어떻게 똑같은 선발과정을 거치는데, 당·락을 결정지을 정도로 관점이 다를 수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선발된 학생들이 누구에게 교육을 받느냐에 따라 영재교육도 변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보는 사람에 따라 영재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전문가로부터 영재성을 인정받는 것이 아니고, 자신을 교육한 사람에게만 영재라는 이야기를 듣게 될 것이다.

이렇게 1년마다 영재교육의 방향이 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면 영재교육의 방법을 새로이 해야 한다. 즉 현재처럼 1년단위로 새로 영재를 선발할 것이 아니고 최소한 2-3년동안 계속해서 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계성이 없는 영재교육은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는 생각이다. 한번 선발된 영재가 계속적으로 교육을 받아서 진정한 영재가 될 수 있도록 사소하지만 교육방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영재교육을 직접하는 교육담당자도 가급적이면 바꾸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당초의 취지대로 영재교육이 실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