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4.8℃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4.0℃
  • 구름조금대전 24.4℃
  • 맑음대구 20.9℃
  • 맑음울산 19.9℃
  • 구름많음광주 23.9℃
  • 맑음부산 19.4℃
  • 구름많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23.8℃
  • 구름조금강화 21.0℃
  • 구름조금보은 20.6℃
  • 구름많음금산 24.3℃
  • 구름많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1.8℃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이참에 '0%'와 '100%'로 만들자

최소한 40대 이상의 독자들은 학창시절에 교실 한가운데에 놓여있던 조개탄난로를 기억할 것이다. 조개탄은 모양이 조개모양으로 개당 무게가 약 50g정도였다. 무연탄의 일종으로 70년대에는 대부분의 학교에서 겨울난방연료로 사용하던 것이다. 그보다 이전에는 조개탄이 아니고 장작개비나 아카시아나무, 광솔 등을 이용하여 교실의 난로를 지피기도 했었다. 그때는 등교때마다 연료를 새끼로 묶어서 들고 가는 모습이 너무나 자연스러웠었다. 이들 연료가 많아야 하루를 따뜻하게 보낼 수 있었다.

겨울은 그럭저럭 따뜻하게 보낼 수 있었지만, 여름이 되면 찜통교실을 벗어날 수 없었다. 가정에도 선풍기라는 것을 찾아보기 어려운 시절이었으니, 학교에서 선풍기를 보기는 더욱더 어려웠었다. 그렇게 여름을 인내와 끈기로 이겨내던 시절이 있었다. 그 시절의 학교환경은 현재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열악', 그 자체였다. 항간에는 6-70년대 교실에서 2000년대 학생들이 공부한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꼭 그런것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예전의 교실환경과 현재의 교실환경은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던 것이 시대가 변하면서 지금은 대부분의 교실에 가스를 이용한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 여름의 무더위를 대비해 선풍기도 대부분 구비되어 있다. 예나 지금이나 더 큰 문제는 냉방문제이다. 겨울은 그럭저럭 견디지만 여름의 무더위를 견디기는 쉽지 않다. 그렇지만 아직도 많은 교실에는 제대로된 냉방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매년 실태조사결과는 여러경로를 통해 접하지만 개선될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선풍기 몇대로 여름을 나고 있는 것이다.

최근발표된 교육부의 자료에 따르면, 학교시설이 현대식으로 많이 개선됐지만 16% 가량의 초ㆍ중ㆍ고 교실에서는 재래식 난방시설로 인해 추위 속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지난해 6월 말 현재 전국 초ㆍ중ㆍ고교 및 특수학교 교실 총 49만1천370개 가운데 난방시설이 설치된 곳은 전체의 84.1%인 41만3천350개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하는데, 난방시설의 기준이 추위를 이기기 위한 충분한 시설이 갖추어진 것이라고 하는데, 이 수치가 정확한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이보다 더 많은 학교들이 아직 충분한 난방시설을 갖추지 못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냉방시설은 에어컨, 냉온수기, 가변형 냉난방기 등 현대식 시설을 갖춘 것을 의미한다고 하는데, 전체 49만1370개 교실 가운데 냉방시설이 돼 있는 곳은 30만7268개로 62.5%였으며 나머지 18만4102개(37.5%)는 여전히 여름철은 선풍기 등으로 더위를 식혀야 하는 '찜통교실'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한다. 앞서 지적한 것처럼 냉방시설이 더 시급한 문제로 볼 수 있다. 냉방시설의 비율 62.5%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생각이다. 이는 주변의 학교를 살펴보아도 쉽게 알 수 있는데, 대략 4-50%대가 좀더 정확한 수치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물론 다른 지역에는 훨씬 더 많은 냉방시설이 갖추어져 있을 수도 있다.


교육부에서는 앞으로 예산을 확보하여 일선학교에 냉,난방 시설이 완벽하게 보급되도록 한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스럽다는 생각이다. 앞으로는 좀더 쾌적한 교실에서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교환경의 실질적인 측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냉,난방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교실이 0%가 될때까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0%가 된다고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각 교실에 냉,난방장치(특히 냉방장치)가 완비되어 있지만 가동을 하지 못하는 곳도 상당수 있다. 대부분의 학교에 이러한 냉방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운영비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여름온도 30도를 넘어도 냉방시설을 가동하지 못한다면 그 냉방장치는 그림의 떡이 될 공산이 크다. 이에대한 지원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별도의 예산배정이나 학교전기요금을 대폭인하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총의 노력으로 학교의 전기요금이 인하되긴 했지만 추가인하가 필요하다. 특별예산을 들여서 시설을 확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활한 가동이 되도록 후속조치까지도 취해야 한다. 가동률을 100%로 끌어 올려야 한다.

학교의 환경은 개선할 것이 너무 많다. 그렇지만 우선순위에서 본다면 냉, 난방 시설이 단연 으뜸일 것이다. 따라서 시설 미설치 교실은 0%로, 가동률은 100%로 끌어올려야 실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런 모든 것을 한꺼번에 개선하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그렇더라도 최선을 다하는 교육당국의 노력을 기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