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들의 바가지 상혼을 비롯한 해외여행에서 여행사들의 구태의연한 태도를 비판한 김형태 리포터님의 기사를 공감하면서 잘 보았다. 실질적인 문제를 정확히 지적했고 대처법까지 친절히 알려주신 것은 앞으로 해외여행을 하게될 경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간혹 방학을 이용하여 해외로 나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공적인 경우도 있고 사적인 경우(흔히 공무외 해외여행)도 생기게 마련인데, 처음에 나갈때는 그저 흥분된 마음으로 나가서 뭔가 새로운 경험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러던 것이 횟수를 거듭하다보니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눈에 들어왔다. 김형태 리포터님이 지적하신 여행시의 쇼핑은 항상 포함되어 있어 이제는 식상할 정도가 되었다.
그 문제와 관련하여 리포터도 경험한 일이 있다. 건강에 좋다고 하는 의약품, 물론 상인들의 설명을 들으면 그것이 마치 만병통치약이라는 느낌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때만 잘 참고 넘기면 왠지 아쉽다는 생각보다는 '돈벌었다'는 느낌어 더 강하게 온다. 어쨌든 그 약품의 품명을 적어가지고 왔다(물론 구입하지 않았다). 한국에서 수입해서 판매하는 제약회사가 있는데, 그 제약사에서는 고가에 판매한다고 했었다. 돌아온 직후 집안에 약사가 있어서 그 약품에 대해 물었다. '그런 약 수입하지도 않을 뿐더러, 우리나라의 모 제약사에서 나오는 제품이 훨씬 더 효과도 우수하고 가격도 그곳에서 제시한 가격보다 싸다.'는 것이었다. 그쪽에서 싸게 판다고 제시한 가격보다 더 싸다는 것이었다. 구입하지 않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함께 갔던 일행중에는 구입한 경우가 많았다. 마음이 편치 않았다.
사실 방학을 이용해서 나가는 경우, 공무보다는 공무외 국외여행이 더 많다. 이 부분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그 국외여행을 그렇게 자주할 기회는 사실상 많지 않다. 그런데 좀 특이한 생각인지는 몰라도 리포터의 경험으로는 외국에 나가서 뭔가 얻는다기보다는 왠지 좀 부끄럽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뭐때문에 부끄럽다고 생각하느냐고 묻는다면 꼭 이것이다라고 대답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부끄럽다는 생각이 든다. 우선 가는곳마다 한국인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똑같이 여행온 여행객인데, 그것이 반갑지 않고 부끄러운 이유는 한국여행객이 있는 곳마다 한국어로 표기되어 있는 각종 간판이나 안내판 등이다. 얼마나 한국인들이 많이 찾아오면 그런 표현들이 흔하게 있을까라는 생각때문이다. 물론 리포터도 그들중 한명이니 부끄럽게 생각할 자격이 없다는 것도 알고 있다.
또한지는 우리가 가는 곳마다 현지인들이 한국어를 몇 마디씩은 한다는 것이다. 가이드에게 물었더니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본인도 많은 편이긴 하지만 그래도 한국인보다는 많지 않다는 것이다. 돈 잘 쓰고 현금많은 것이 한국인들로 알려졌기 때문에 그들은 오로지 한국인들만을 상대하기 위해 한국어를 몇 마디씩 익히고 있다는 것이다. 더우기 어린이들까지 몇 마디씩 한국어를 하는 경우도 있다. 왜 인지는 정확하지 않지만 왠지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곤 한다.
끝으로 인천공항 입국심사대, 외국에서 들어오는 승객들 중 상당수가 한국인들이다. 외국인 전용게이트는 텅 비어 있고 한국인들이 통과하는 게이트는 복잡하다. 일본공항의 게이트는 반대이다. 외국인 전용게이트는 꽉 차있고, 내국인 전용게이트는 텅 비어 있다. 지난해 일본관광객이 전년대비 줄어 들었다는 뉴스에서 우리가 뭔가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이다.
현대는 세계화, 국제화 시대이다. 외국여행을 안하고 살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그렇더라도 외국여행시에 최소한의 경비만을 소비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김형태 리포터님의 지적대로 여행사들의 인식이 변해야 한다. 한푼이라도 더 벌기위해 억지로 쇼핑을 시키거나 필요없는 옵션을 부과하는 일이 없어져야 한다. 당장에 자신들의 수입을 올리기 위한 노력보다 여행객들의 사정을 이해하는 인식변화가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