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급학교에 적극 권장하는 것이 방과후 교육활동이다.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욕구를 공교육의 범위 안으로 끌어들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을 실시함은 물론, 지나친 사교육비를 경감하고자 함이 목표이다. 매년 학교교육계획을 세울때 꼭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방과후 교육활동인 이유이다. 그러나 취지만으로는 제대로 실시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돈 문제이다.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꼭 교사가 아니더라도 충분한 인력의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사교육을 공교육의 범위로 끌어들이는 듯한 문제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이로인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실시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그동안의 방과후 교육의 문제를 다시 거론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다 알려진 문제이기에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도록 하겠다. 다만 적극 권장하는 정책임에 비해 그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앞서 밝힌 것처럼 돈만 있으면 해결이 된다. 물론 지금도 각 시,도교육청에서 어느정도의 지원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지원액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긴 하지만 지원금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고 본다.
방과후 교육을 하려고 해도 항상 걸리는 문제가 있다. 바로 교육프로그램이다. 현재는 방과후 교육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강사가 모든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을 해야 한다. 제대로 된 학습자료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과후 교육활동을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쪽으로의 지원을 증가시켜야 한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을 강사에게만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교사들에게 교수-학습자료를 수시로 개발하여 보급하듯이 방과후 교육활동에도 다양한 자료의 보급이 필요한 것이다.
실제로 교육에 필요한 자료만 확보된다면 언제라도 교육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교사들도 있다. 교사들이 모두 방과후 교육에 반대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문제없이 방과후 교육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 여건 중에는 다양한 교육자료가 포함된다는 이야기다. 예산을 더 늘려서 지원해 주면 좋겠지만 그것이 여의치 않다면 일단은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예산배정이라도 해 주어야 한다.
예산타령, 자료타령 한다고 지적할 수도 있지만 아무리 좋은 방안이라도 여건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실행에 옮기기 어렵다. 따라서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실시를 권장하기에 앞서 다양한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아니면 각 학교에서 이에대한 관심이 있는 교원들에게 지원을 해주면 쉽게 해결될 것으로 생각한다. 예산지원의 우선순위를 바꾸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방과후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키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