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를 통과한 무자격교장공모제에 대한 우려에 대한 수위가 자꾸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교장공모제에 대하여 별다른 관심이 없던 교원들까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결국은 전문성이 떨어지는 사람이 과연 교장으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것인가에 대한 우려가 핵심이다. 수십년동안 경험을 쌓아온 교원도 교장이 되면 시행착오를 겪게되는데 15년의 경력으로 무엇을 어떻게 정상적으로 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더우기 자격도 없이 무조건 교장이 될 수 있기에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교육테러라는 표현이 적절하다.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한다고 수도없이 주장해온 것이 현재의 참여정부 논리이다. 이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교원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명목으로 교원평가제도입을 추진해온 교육부도 평가의 목적을 교원의 전문성신장에 둔다라고 했다. 정부와 교육부가 함께 주장해온 것이 '전문성'이다. 그런데 이제와서 전문성을 신장시켜야 할 교단에 전문성없는 사람을 교장으로 임용하겠다는 것이다. 전문성신장강조와 전문성없는 무자격자를 교장으로 임용하겠다는 모순을 정부와 교육부에서는 스스로 범하고 있는 것이다.
마라톤의 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마라톤을 지도했다면 오늘의 이봉주는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수영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이 코치를 했다면 박태환같은 세계적인 선수는 절대로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전문성없는 교장들이 많았다면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전문성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이다. 그만큼 전문성이 필요한 것이다. 어느분야나 마찬가지이다. 절대로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전문성이다.
무자격교장 공모제를 실시한다고 해서 공교육이 활성화될 것으로 보지 않는다. 공교육활성화를 위한다는 이유도 무자격교장공모제 도입의 구실이다. 무자격교장공모제를 실시한다고 공교육이 살아날 것으로 보는가. 그런일은 있을 수 없다. 교원의 사기를 꺾어놓고 무슨 활성화를 바랄 수 있겠는가. 더큰 문제는 여건조성이다. 여건조성없이 아무리 많은 방안을 내도 교육은 살아나지 않는다. 무조건 모든책임을 학교와 교원들에게 돌리려는 것이 잘못된 것이다. 모든 여건을 갖추었는데도 공교육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당연히 학교와 교원들이 책임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학교현실은 그렇지 않다.
교장을 할 수 있는 전문가는 하루아침에 양성되는 것이 아니다. 오랫동안 경험을 쌓고 노하우를 축적해야 가능한 것이다. 교육경력 15년이라면 대략 40세 전,후가 될 것이다. 이들이 과연 교장이 되어서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어떤 철학을 가지고 학교를 이끌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20년 30년을 교직에 몸담아왔던 교원들의 능력을 능가할 수 있을까. 절대 그런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도리어 지금보다 더 후퇴하게 될 것이다.
더욱이 일부학교는 외부에서 전문가를 영입한다고 하고 있다. 전문가가 내부에도 많이 있는데, 왜 외부에서 찾아야 하는가. 그 이유가 불분명하다. 결국은 교원들을 믿지 못하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일 것이다. 정부와 교육부에서 교원들을 믿지 못하면 누가 교원들을 믿겠는가. 전문가를 옆에두고 다른곳에서 전문가를 찾는 우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있는 전문가도 활용못하면서 다른 곳에서 어떻게 더 훌륭한 전문가를 데려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일까.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
교원들을 경쟁시키겠다는 것도 무자격교장공모제 도입의 이유이다. 정부와 교육부에서 원하는 치열한 경쟁을 유도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경쟁은 교육을 잘해보자는 경쟁이 아니다. 오로지 학운위에 줄을서서 교장을 해보겠다는 경쟁이 될 것이다. 결국은 교육은 더욱더 황폐해질 것이다. 원하는 경쟁을 시켰지만 원하는 교육발전은 이루지 못할 것이다. 오로지 상처받는 것은 교원들 뿐이다. 어떻게 이런 경쟁의 논리가 나왔는지 역시 이해하기 어렵다.
어떤 술자리에서 나이많은 교사가 부르던 노래가 생각난다. 태진아의 '사랑은 아무나하나'라는 노래가 있다. 그는 이노래를 이렇게 불렀다. 눈물을 글썽이면서...'교장은 아무나 하나, 교장은 아무나 하나. 교장--은 아무나 하나. 마음이라도 마주쳐야지. 아무나 아무나 교장한다면....' 대략 이런 내용이었다. 이렇게 교육현장을 흔들어놓는 현실이 매우 슬프고 안타깝다. 무자격교장공모제를 추진하는 쪽에서도 이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위기에 편승하여 그대로 진행하고 있을 것이다. 누군가 용기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이것을 저지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것이다. 양심을 걸고 용기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
앞으로 교육계를 흔들어 놓을 무자격교장공모제는 당장에 백지화 해야 한다. 당사자들의 의견을 무시하고 만든 안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교육발전에 전혀 도움을 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가까운 곳에서 전문가를 찾아야 한다는 단순한 진리를 하루빨리 깨닫는 정부와 교육부가 되길 촉구한다. 어떤일이 있어도 무자격교장공모제의 시행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된다. 빨리 결단을 내리기를 강력히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