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양성평등교육 활성화 계획'을 산하 교육청에 시달하면서 각급 학교별로 이행 방침을 독자적으로 세워 운영하도록 주문했다. 전혀 새로울 것은 없다. 이미 수년전부터 각급학교에서는 양성평등교육과 관련한 계획을 세워서 이를 시행해 왔다. 담당자도 지정되어 있다. 남,여공학교의 경우 특별히 양성평등에 어긋나는 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거의 없다. 도리어 서울시내의 거의 모든 중학교들이 남,여공학으로 개편되면서 남학생들이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일단 학급회장만 보더라도 남학생의 독주시대는 이미 끝난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학교급에서는 어떤지 알수 없지만 중학교의 경우는 남,여학생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도리어 여학생이 더 많은 경우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이번의 양성평등교육 활성화계획을 보면 모든 촛점이 여학생에게 맞추어진 느낌이다. "`남성은 의사 여성은 간호사'라는 등의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교육 관행과 여학생은 치마만 입어야 한다는 등의 규정이 일선 교육 현장에서 점차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보도내용이 있었다. 언론에서 그렇게 표현을 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만일 서울시교육청의 보도자료에 이런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 부분은 시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것이야말로 양성평등을 해치는 인식이기 때문이다.
남성이 의사, 여성이 간호사라는 고정관념은 교육을 통해서 해소가 가능하고 또한 현실적으로 비율이 엇비슷해진다면 자연스럽게 사라질 부분이다. 그런데 여학생은 치마만 입어야 한다는 등의 규정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미 오래전에 그런 규정을 폐지하도록 했었다. 상당수 학교가 여학생에게 치마만 입도록 강요하지 않고 있다. 자율에 맡기고 있다. 그런데도 학부모들의 인식이나 사회적 통념에서 여학생들이 치마를 입는 것이다. 바지를 입어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전임교는 물론 현 근무교도 여학생에게 치마를 입도록 하는 규정은 사라진지 오래다.
서울시내 중학교들이 짧은시간에 남,여공학으로 개편되면서 성비 불균형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 이유는 사립학교들은 대부분 그대로 남학교나 여학교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위적으로 남,여공학을 추진한 결과 남학생대 여학생의 비율이 엇비슷한 경우보다는 어느 한쪽이 많은 경우가 많다. 우리학교가 속한 관내에는 여학생의 숫자가 많은 학교들이 더 많다. 우리학교의 경우도 각 학년의 여학생대 남학생의 비율이 2:1에 육박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양성평등교육활성화 계획을 여학생에게 촛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은 유감스런일이 아닐 수 없다.
도리어 남학생들이 소외감을 나타내고 있다. 학급당 인원이 39명인데, 이중 남학생은 대략 12-15명선이다. 수많은 여학생들 사이에서 남학생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의사는 남자, 간호사는 여자의 차원이 아니다. 수행평가등에서도 상위에 오르는 남학생은 10위권에 1-2명 정도이다. 정규고사 성적도 마찬가지이다. 수행평가의 영향이 크기도 하겠지만 남학생들의 숫자가 적다보니 그들만이 뭉치는 이상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인위적인 남,여공학 개편이 가져온 문제점이다.
양성평등교육을 제대로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어느 한쪽만을 위한 양성평등교육으로 흘러가서는 곤란하다. 양쪽모두 공평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번의 서울시교육청계획도 양쪽을 공평하게 교육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당연히 그래야 한다. 앞으로 어떻게 정상적인 교육이 이루어질지 관심이 간다. 확실한 것은 이로인해 도리어 소외되는 성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모두에게 공감될 수 있는 양성평등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