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학교를 만드는 변화관리 과정(초/중등)' 원격연수가 이번주를 끝으로 모두 막을 내린다. 지난해 12월11일부터 올해 4월 27일까지 연수가 진행되게된다. 그동안 8기에 걸쳐 연수가 실시되었는데, 교육인적자원부가 주관이 되었지만 연수주체는 각 시,도교육청이었다. 이 연수의 이수교원수를 기초로 연말에 학교혁신평가에 반영하겠다는 교육청의 공문을 충실히 따라 많은 교원들이 연수를 신청하였고 무사히 이수하였다.
이 연수는 '학교혁신의 시작', '단위학교 혁신역량강화', '교육활동의 혁신'의 세가지 타이틀로 진행되었는데, 총 17차시로 이루어져 있다. 여러가지 혁신관련 내용들로 구성되어있다. 학교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고 부분에 따라서는 학교현장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부분도 있었다. 이 연수를 통해 어느정도 혁신마인드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바쁜틈을 타서 연수를 받은만큼 앞으로 현장적용에 노력해야 하겠다는 생각을 해 보았다.
그러나 문제점도 있었다. 연수를 들으면서 느낀 몇가지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로 연수내용이 평이한 내용이었다는 것을 먼저 지적할 수 있다. 즉 이미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거나 시행했던 것을 답습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혁신과는 다소 동떨어진 내용들이 있었다. 둘째는 학교교육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전제를 미리 깔아놓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 원인을 교원들에게 돌리고 있는 부분이 대부분이었다. 교육행정기관의 잘못된 관행등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을 하고 있지 않았다. 학교혁신이 꼭 교원들만 혁신한다고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학교의 제반여건을 갖추기 위한 방안제시가 미흡한 부분이 있었는데 일례로 도서관등의 시설이 최신으로 갖추어져 있다는 전제하에 독서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셋째는 각 차시마다 인터뷰코너가 있었는데, 인터뷰 대상자가 거의 교육전문직이거나 교육청에 근무하는 과장, 국장급이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분명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즉 교육전문직이나 교육청에 근무하는 경우에만 학교혁신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있다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일선학교의 교장이나 교감, 교사들 중에도 혁신마인드를 가지고 열심히 실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철저히 학교의 교사들을 제외시켰다는 것은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혁신연수로 부적절하다고 본다.
넷째는 17차시 연수이면서 과제를 부과했다는 것이다. 물론 과제의 양이 많은 것은 아니지만 그 과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부담을 갖는 교사들이 많았다. 특히 교사들은 이 연수에 과제를 부여한 것은 교원들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불만을 토로했다. 즉 이렇게 하지 않으면 교원들이 열심히 하지 않을 것이라는 구 시대적인 발상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미 연수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쓰도록 한 부분이 매 차시마다 1-2회정도 있었는데도 굳이 과제를 제출받아 그 과제에 점수를 부여하여 연수점수에 포함한 것은 교원들에게 부담을 가중시킨 결과를 가져왔다고 본다.
다섯째는 17차시연수이면서 점수화 했다는 것이다. 과제와 강의시청, 최종테스트를 모두 받은 후 자신의 점수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60점이상이 되어야 연수를 패스할 수 있다고 했기에 과제나 최종테스트에 매달릴 수 밖에 없었다. 물론 60점만 넘으면 그만이긴 하지만 굳이 점수제를 도입하여 연수를 강화한 것 역시 교원들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으로 보겠다.
점수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점수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학습진도는 무조건 끝까지 진행해야 연수이수가 되도록 하였다. 지나치게 불신하기 때문에 강화한 조치라고 생각한다. 아직도 교육부나 교육행정기관에서 교원들을 믿지 못하는 풍토가 남아있다는 것은 정말로 슬픈일이 아닐 수 없다.
학생들에게 늘 강조하는 것이 있다. 바로 공부는 스스로 할때 가장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억지로 하는 공부는 잘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반발심만 키울 수 있다. 이런 연수도 마찬가지이다. 강제로 연수를 이수하지 않으면 안될 것 같은 분위기로 몰아가는 것부터, 신청은 했지만 잘 듣지 않을 것이라는 선입견으로 각종 장치를 만드는 것은 불신만 더 키울 뿐이다. 교원들은 어린 학생들이 아니다. 스스로 모든 것을 알아서 할 수 있다. 교원들을 믿고 학교교육을 맡기는 것이 공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것을 교육부와 교육행정기관에서 명심해야 한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