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에서 관내 중,고등학교에 서술·논술형평가를 50%이상 확대 실시하도록 지침을 내린 후 첫번째 중간고사가 실시되었다. 학생들의 창의력신장이 되었는지는 좀더 두고보아야 할 사안이지만 요즈음 일선학교의 모습은 극과극이다. 즉 서술·논술형평가문항을 50%이상 출제하도록 되어있는 과목의 교사들은 채점을 위해서 모든 시간을 반납해야 한다. 평가를 마친후의 채점과정은 1차채점, 재검, 삼검까지 해야한다. 삼검까지 했어도 미심적은 부분이 있거나 확실히 정답 여·부를 가리기 어려운 문항의 경우는 교과협의회를 통해 최종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이래저래 시간과의 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이렇게 채점을 했다고해서 모든일이 끝나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이제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답안을 확인시켜야 한다. 단순히 자신의 득점만 확인시키는 것이 아니고 학생 개개인에게 정확히 답안을 공개해야 한다. 이런 과정은 당연히 교육청에서 지침을 내렸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과정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져야 한다. 개개인에게 답안지를 배부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교사입회하에 공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서술·논술형 평가의 답안지 확인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1시간 남짓, 당연히 그시간은 수업을 할 수 없다. 그렇게 한 후에 학생들의 점수를 최종확정하게 되는데 결석생이라도 있는 날에는 그 학생이 등교하는 날에 다시 확인시켜야 한다. 그러다보면 채점하는데에 보통 3-4일, 확인하는데 2-3일이 걸린다.
이렇게 넘겨진 답안을 성적처리실에서 처리하여 또다시 학생들에게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그 기간이 2-3일 정도 소요된다. 결국 시험이 끝나고 빨라야 2주 가까운 시간이 흘러야 학생들에게 성적통지표를 배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학교사정은 이렇지만 학부모들의 입장은 그렇지 않다는데에 있다. 시험끝난지가 언제인데 아직까기 성적표를 배부하지 않느냐는 항의가 들어온다. 정말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사정때문에 시험때마다 하루라도 채점기간을 당기기 위한 노력을 하게된다.
이렇게 서술·논술형평가에 대한 비율이 강화되었지만 학교에 따라서는 그 지침을 준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물론 시교육청의 이야기대로 가급적 지켜달라는 것일뿐 사정에 따라서는 교과협의회를 거쳐 학교장이 최종결정하면 된다는 내용에 따라 비율이 다를 수는 있다. 그렇지만 그 비율을 담임장학이나 학교평가등에 반영을 하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쉽게 비율을 바꾸기도 어렵다. 더우기 지침을 준수하는 학교에 대해서는 더 많은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학교장들이 고심하는 부분이 바로 이부분이다. 비율만 고집하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마음대로 비율을 조정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부분이다. 교사입장을 생각하면 단 1%라도 줄여야 하지만 교육청을 생각하면 단 1%라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는 서술·논술형평가를 실시하는 과목과 그렇지 않은 과목에 대한 인식차이는 그렇다 치더라도 시험을 볼때의 업무량은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난다. 서술·논술형평가를 실시하는 과목은 그만큼 처리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최소한 시험기간만의 업무량을 본다면 그 차이가 매우 크다. 교무실에서 서로가 이야기를 나눌 시간조차 없는 것이 요즈음의 교무실 모습이다. 이런 모습뒤에 학생들의 창의력이 부쩍 신장된다면 그래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