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3월 신학기가 시작되면 학교를 비리의 온상으로 몰아가는 언론보도를 적어도 1-2개는 접한다. 잠시주춤하던 언론보도는 스승의날을 앞두고 또다시 고개를 든다. 벌써 수년째 같은 행태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다가 2-3년 전부터는 이런 언론의 행태를 보다못한 각급학교에서 스승의 날에 대거 휴업을 단행했다. 스승의날을 앞두고 벌어지는 각종 비리의혹을 지울 수 있는 방안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도 언론에서는 가만히 두고 보지 않았다.
휴업하는 것이 마치 스승의날을 앞두고 촌지를 비롯한 금품수수를 원천봉쇄하는 것보다는 도리어 그런 비리를 인정하기 때문으로 몰아갔다. 사소한 선물까지 문제삼기에 이르렀다. 스승의날을 2월로 옮기는 문제가 이슈화되기 시작했다. 어떻게 하든 언론에서는 꼬리를 물고 교사집단을 비리나 저지르는 아주 나쁜집단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다. 무슨수를 쓰든지 눈꼽만한 문제를 바위덩어리만큼 키우기에 급급한 것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남는 것은 무엇일까. 교사를 나쁜 집단으로 몰아가서 무엇을 얻으려는 것인가.
지난해에는 스승의날이되자 일제히 학교의 휴업문제를 들고 나왔다. 단 한곳의 언론도 스승의날에 휴업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보도하는 일이 없었다. 휴업 그 자체만을 놓고 문제를 삼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라는 것인가. 휴업도 안되고 기념식을 하면 또 비리를 문제삼고, 올해는 정상수업을 하는 학교가 많으니 어떻게 나올지 궁금하다. 스승의날을 2월로 옮기면 또 어떤 문제를 들고 나올지 도저히 알수 없다. 공교육이 무너진다고 앞다퉈 보도하면서 교사의 기를 팍팍 죽이는 보도를 일삼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이다.
이런 언론으로 인해 사회적 분위기가 이상하게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그들은 왜 학교가 휴업하는 것에 관심이 많은가. 학교가 휴업하고나면 스승의날과 관련한 특별한 기삿거리를 찾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시각을 나쁜 쪽으로만 모으고 있기 때문이다. 훌륭한 예는 보도하지 않는다. 매년 한국교총에서 스승의날 즈음에 실시하는 '교육사랑 마라톤대회'를 보도하는 언론은 거의 접하지 못했다. 교사, 학생, 학부모가 함께 달리는 행사인데도 말이다. 이 행사를 보도하는 언론은 그나마 한국교육신문 뿐이다. 왜 이래야 하는 것인가.
언론의 기사는 당연히 관심을 끌어야 한다. 이제는 스승의날을 전,후한 촌지수수문제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관심이 없다. 언론에서는 새로운 이슈를 찾기 위해노력할 것이다. 과연 이번의 스승의날에는 어떤 문제를 들고나올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언론에 부탁하고 싶은 것이 있다. 올해는 모든 기사를 교사가 선행을 베푸는 모습만으로 해달라는 것이다. 스승의 본래 모습을 보여달라는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학교현장을 방문해 주길 바란다. 어려운 여건에서도 묵묵히 교단을 지키는 수많은 교원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길 바란다.
학교가 휴업하는 것에 대해 왜 언론에서 이래라 저래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남의 제사에 참견하면 안된다는 속담이 있다. 왜 학교가 휴업하는 것에 언론이 문제를 제기하는가. 그렇다고 수업일수 안지키고 수업시수 안지키는가. 절대 그런일은 있을 수 없다. 그럼에도 마치 휴업을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으로 오인하고 있다. 자신들의 입장에서만 학교를 바라보지 말았으면 한다. 어떤 경우라도 학교교육을 소홀히 하는 경우는 없다.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은 교사들의 책임이자 의무이기 때문이다. 올해는 제발 교사들에게 용기를 주는 훌륭한 보도를 많이 내 주기를 대한민국 모든 언론에 공개적으로 당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