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4.8℃
  • 맑음강릉 22.9℃
  • 구름많음서울 24.0℃
  • 구름조금대전 24.4℃
  • 맑음대구 20.9℃
  • 맑음울산 19.9℃
  • 구름많음광주 23.9℃
  • 맑음부산 19.4℃
  • 구름많음고창 23.4℃
  • 구름많음제주 23.8℃
  • 구름조금강화 21.0℃
  • 구름조금보은 20.6℃
  • 구름많음금산 24.3℃
  • 구름많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1.8℃
  • 구름많음거제 18.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교원연수'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거의 10여년전이다. 주로 교육청에서 주관하여 무료로 진행되던 교원연수 시스템이 다양한 연수를 한다면서 자비연수로 바뀐 후 교원연수원이 난립하기 시작했다. 교원연수를 통해 돈벌이늘 하기 위해 연수원이 난립하였다. 교원들은 여기저기서 다양한 연수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한동안 교육부로부터 교원연수원인가를 얻기위해 대학은 물론 일반 교육기관까지 가세하였다. 이런와중에 원격연수원이 인가되면서 연수의 춘추전국시대가 되었다.

이렇게 연수원이 난립하면서 연수의 질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승진을 위해 연수를 받는 경우도 많았지만 뭔가 배우려고 시작한 연수가 생각보다 질이 떨어지는 바람에 연수비만 날리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연수의 질도 문제가 되지만 더 큰 문제는 연수원으로써의 위상이 확실하냐의 문제도 등장했다.

특히 연수원에 따라서는 수강생의 수가 많지 않아 연수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고 한다. 원격연수원의 경우는 정도가 더 심한편으로 수년이 지난 강의내용을 그대로 활용할 뿐 아니라, 연수교재도 이미 시간이 지나서 현실성이 없는 교재를 그대로 이용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즉 연수의 업그레이드가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많은 연수원들은 연수의 질도 높고 연수내용도 수시로 업그레이드 되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 그러나 일부연수원의 경우는 연수의 질과 함께 연수과정에 대한 내용보완이 되지 않아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특히 연수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는데, 만일 10-20명의 연수생이 연수를 받게되면 승진등에 점수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점수획득에 어려움이 많다.

교육부에서 발표한 조견표에 맞추어 상대평가를 하도록 되어있는 것이 현재 연수평가 시스템인데, 인원이 줄어들수록 고득점을 받기가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정한 비율을 맞추도록 되어 있으나 인원수가 적을 경우는 그 비율에 맞는 점수를 받기 어렵다.

더 큰 문제는 연수를 진행하는 연수원에서 해당연수과정의 수강인원을 공지해 주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인원이 많은지 적은지 알지못하고 연수에 임하고 있는데 최종평가를 통해 상대평가점수를 부여받고도 그 인원을 알수 없는 경우가 많다. 개별적으로 문의를 하면 알려주긴 하지만 미리 수강생들에게 공지해 주는 것이 옳다는 생각이다. 수강생의 많고 적음에 따라 연수의지가 달라질 수는 있지만 연수비를 내고 연수를 받는 수강생들에게 연수원에서 최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히 해야 할 의무이기 때문이다.

인원이 모집예정인원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도 연수를 진행한다면 연수생과 연수원 모두에게 득이 되지 않는다. 연수생들은 연수생들 나름대로 목표한 점수획득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연수원은 연수원대로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강사료와 운영비를 쉽게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명맥만 유지하는 연수일 뿐이다. 이런 연수의 경우는 연수원자체에서 폐강을 해야 한다. 더이상 연수로써의 가치가 떨어진다면 당연히 퇴출시켜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연수원마다 연수가치가 떨어지는 과정을 퇴출시킨후 나머지 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대부분의 과정이 어려움을 겪는 연수원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연수원자체의 운영이 어렵다면 당연히 해당연수원은 인가를 취소해야 할 것이다. 연수의 질적인 문제와 운영의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연수원이 현재 어느정도 있는지는 예측이 불가능하지만 교육부에서는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에하나 연수원의 존,폐위기에 처한 연수원이 있다면 과감히 구조조정을 해야 할 것이다. 1차로는 수강생이 많지 않은 과정을 퇴출시키고 2차적으로는 전체적인 운영을 조사하여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연수를 통해 교원들이 전문성신장을 꾀한다고 볼때 연수원의 질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라도 교원연수를 통해 돈벌이를 하는 연수원을 방치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