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이 여름 방학을 한 지 겨우 5일째이다. 시계를 보니 2교시 중간쯤이다. 우리 반 꼬맹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시간이 기다리는 2교시 끝 시간이 가까워 온다.
“선생님, 오늘 놀이 시간 주지요?” “오늘은 몇 모둠이 그네 탈 차례지요? 그렇게도 그네 타기가 좋아요?” “네. 우리 1모둠은 맨날 그네를 못 타는데…….” “아하! 1모둠이 타는 날은 월요일이라 애국주회 시간 때문에 못 타는구나. 그럼 내일 점심시간에 타면 되겠다.” “에이, 점심시간에는 2학년 오빠들이 탄단 말이에요.”
이렇게 날마다 말놀이 하던 아이들 목소리가 매미 소리 저편에서 재잘거린다. 아이들은 2교시 후에 20분쯤 주어지는 중간 놀이 시간을 제일 좋아한다. 그것도 학교 행사가 있어서 전체 모임이 있거나 체조 연습을 하며 보낸 중간 놀이 시간은 심드렁하게 생각한다. 그러고는 교실에 들어와서는 내게 투덜거린다.
“선생님, 왜 놀이 시간 안 주세요?” “어? 금방 체조한 시간이 그건데.”
그것뿐이 아니다. 비라도 오면 아이들은 연신 운동장을 내다보며 궁시렁거린다.
“에이, 비가 오잖아. 이따가 나가서 못 놀겠네. 선생님, 비 오니까 오늘은 소꿉놀이 시간 주면 안 돼요?” “알았어요. 오늘 아침 독서를 잘한 모둠이나 발표를 다 한 모둠은 놀이 시간 줄게 열심히 공부부터 하자.”
아이들의 관심은 노는 것과 먹는 것에 관한 질문이 대부분이다. 언제 밥 먹는 시간이냐, 놀이 시간을 더 달라 등. 그러면서도 막상 놀이 시간을 주면 밖에 나가 놀지 않고 교실에 남아서 그림을 그리거나 소꿉놀이를 하려고 내 눈치를 본다. 배고프다고 해놓고선 막상 식판 앞에서는 음식 투정을 부리며 1시간씩 씨름을 하는 것이다.
이 여름 방학이 끝나면 아이들은 까맣게 그을린 건강한 피부에 키도 훌쩍 커서 돌아오리라. 방학을 보내고 2학기가 되면 다시 100일 쯤 달리다 보면 언제나 처럼 우리는 또 다른 만남 앞에 서 있으리라. 1학년 아이들이 주는 기쁨은 하루가 다르게 커 가는 모습이 보인다는 점이다. 늘 새로운 글자를 배우느라 내게 다가와 글자를 써 달라는 모습은 점점 사라지고 의젓하게 일기를 쓰고 편지까지 보내게 된다.
1학년 꼬마들이 기르는 기쁨을 선사한다면 6학년을 가르치는 보람은 수확의 기쁨을 선사한다. 중학교에 가기 전에 이것저것 챙겨주며 초등학교 교육의 마무리를 해주는 단계이며 사춘기를 지나는 시기라서 자잘한 말썽을 피우며 자아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것을 도와주어야 한다. 몇 년이 흘러서 다시 찾아주는 아이들은 단연 6학년 제자들이 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즈음은 고학년을 가르치기가 어렵다고들 한다.
너무 머리가 굵어진 아이들이 많아서 선생님에게 도전(?)하는 아이들이 너무 많아서 힘들다는 것이다. 어른들을 향한 반항의 표적 대상이 된 선생님, 특히 초임 여선생님에게 대드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키나 몸으로 보아 선생님보다 더 큰 아이들도 많은 교실에서 인생의 선배 구실, 부모의 대리자, 지혜로운 선생님의 역할까지 모범을 보여야 머리 숙이고 들어오는 게 요즘 아이들이다.
젊어서는 거의 6학년만을 고집했는데 1학년 아이들이 더 예쁜 걸 보면 나도 이제 자식들을 결혼시킬 때가 가까워지는 모양이다. 꼬마들이 예쁘기 시작하면 손자 볼 때가 가까워진 증거라던 선배님들 말씀이 생각난다. 꼬마 녀석들의 커다란 동공을 들여다보며 그 눈 속에 비친 내 얼굴은 나이가 들어가지만 내 마음은 다시 어려지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던 우리 반 예쁜이들의 귀여운 입술이 지금 무척 보고 싶다. 토해내는 언어들이 시어라서 늘 기록하지 않으면 놓쳐버리니 반복을 즐긴다.
국어 시간에 싫어하는 동물을 말하고 그 이유를 쓰는 시간이 있었는데 우리 반에서 글씨를 잘 쓰고 노래도 잘 하는 유진이가 들고 나온 책에는, ‘싫어하는 동물-닭, 이유- 똥을 드럽게 싸니까’라고 써서 한참을 웃었다. “유진아, 더럽게가 아니고 왜 드럽게 라고 썼어?” “드럽잖아요.” “유진이도 똥을 드럽게 싸지 않니?”
“닭은 목욕을 하지 않으니까요.” “아니야, 닭도 목욕을 해요. 유진이가 본 적이 없나보다. 닭은 목욕을 할 때 흙이나 모래를 자기 털 속에 집어넣어서 목욕을 해요. 사람하고 다르게 하지만 닭도 목욕을 해요. 그리고 유진이는 통닭이랑 계란 먹지 않아요? “네, 잘 먹어요.” “그래도 드러워요? 그리고 병아리 싫어해요?” 잠깐 망설이던 유진이는 “아니오, 병아리는 참 예뻐요. 닭도 좋아요.” 하며 내 얼굴을 보고 웃었다.
그 날 나는 유진이를 볼 때마다 ‘드럽게’를 연발했다. 더럽게 보다 더 더러운 느낌이 나는 유진이의 말이 재미있었으니 나도 한심한 선생이 아닐까? 아이들과 말장난을 즐기던 교실이 그립다. 처음에는 뭐든지 이유를 물으면 ‘그냥’이라던 아이들을 기어이 이유를 생각하게 해서 말하게 하니 기상천외한 답들을 말하는 1학년 박사님들! 선생님은 지금 그대들이 참 보고 싶어요. ‘닭’이라는 글자를 ‘다’자 밑에 ㄱㄹ 받침을 바꿔 쓰던 너희들이 무척 보고 싶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