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1.1℃
  • 맑음강릉 8.7℃
  • 맑음서울 14.3℃
  • 구름많음대전 15.9℃
  • 흐림대구 12.3℃
  • 박무울산 10.3℃
  • 흐림광주 17.4℃
  • 흐림부산 12.9℃
  • 흐림고창 14.9℃
  • 흐림제주 17.0℃
  • 구름조금강화 12.6℃
  • 흐림보은 11.8℃
  • 흐림금산 13.9℃
  • 흐림강진군 14.9℃
  • 흐림경주시 9.9℃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최우선 순위= 바로 이것

일선학교가 개학에 돌입하면서 서울시내의 일선학교에는 얼마전에 교육부에서 발표한 '폭염경보나 폭염주의보가 내려지면 학교장이 임시휴교나 단축수업을 하라'는 내용이 정식공문으로 내려왔다. 판단은 학교장의 몫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는 학교장의 판단이 중요하게 작용하겠지만, 서울시내의 각급학교들은 아직 임시휴교나 단축수업을 실시한다는 이야기는 들리지 않고 있다. 아마도 학교장들이 다른학교의 눈치를 보거나 아직 개학한 학교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임시휴교나 단축수업의 여,부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자체가 중요할 수도 있지만 이런 지침이 필요한 현실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우리학교(서울 대방중학교 교장: 이선희)도 오늘(21일)개학을 했다. 어제보다는 아주약간 기온이 낮을 것이라는 예보를 접하고 출근을 했다. 학교에 도착해서도 당연히 오늘의 최고기온이 몇도나 될 것인가에 관심이 쏠렸다. 또한 교실의 실제기온이 어느정도나 될 것인가에도 관심이 쏠렸다. 그래도 아침시간이라 크게 무더위를 느끼지는 못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그런 분위기는 1교시 수업종료와 함께 산산이 부서졌다. 교실에서는 가만히 있어도 땀이 뻘뻘 나는 뜨거운 상황, 학생들도 마찬가지로 땀을 흘리면서, 무더위를 견디기 어려운 모습을 보였다. '선생님 교실에 에어컨은 언제 놔 주시는 거예요. 더워서 공부 못하겠어요.' '너희만 더운 것이 아니고 나도 덥다.' '그래도 교무실에는 에어컨 있잖아요. 교실에도 에어컨 달아 주세요.' '나도 에어컨 달고 싶은 마음 굴뚝같지만 학교예산이라는 것이 그렇게 쉽게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 아마도 내년이나 되어야 가능할 것 같다.' '작년에도 같은 이야기 하셨었어요(이 학생들은 지난해에 이어 2년연속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더 이상 할말이 막혔다. 아이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서 수업을 진행했다. 말이 수업진행이지, 더위와의 전쟁이다. 이런 분위기에서 아이들이 제대로 된 공부를 할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는다. 그래도 수업시간이니 수업은 해야하겠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시간이 지나갔다. 하루종일 전쟁을 치르고 난 후에도 여전히 교사들의 관심은 무더위였다. 내일이 걱정스러웠지만 내일걱정은 내일하자라는 생각을 하고 하루 일과를 마쳤다.

'요즈음 아이들이 어디 예전 같나요. 집에 에어컨이 있는 학생들이 대부분인데, 학교에 와서 무더위를 이기자니 한계에 다다른 것이지요. 예전 같으면 선풍기만 있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하겠지만, 요즈음은 선풍기 가지고는 어렵지요. 버스타도 에어컨 나오고, 지하철타도 에어컨 나오는데, 학교만 에어컨 시설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니, 아이들이 어려워 할 수 밖에 없겠지요. 하루빨리 학교에 충분한 냉방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해결책이지요.' 우리학교 어느 선생님의 말씀이다.

이쯤되면 교육에 투자하는 최우선순위가 '냉방시설'확보가 아닐까.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