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6.9℃
  • 구름조금강릉 14.4℃
  • 박무서울 8.4℃
  • 구름많음대전 8.0℃
  • 맑음대구 9.1℃
  • 구름조금울산 9.5℃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3.1℃
  • 맑음고창 10.4℃
  • 흐림제주 20.1℃
  • 맑음강화 7.9℃
  • 구름조금보은 4.7℃
  • 구름조금금산 6.2℃
  • 구름조금강진군 7.5℃
  • 구름많음경주시 9.4℃
  • 맑음거제 12.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극과 극을 달리는 '방학숙제'

개학하고나면 방학과제를 받아서 검토하는 일이 만만치않다. 숙제를 내 주었으니, 그에 맞는 적절한 처리는 당연하다. 최소한 학생들의 과제물에 대한 피드백 정도는 실시해야 한다. 또한 우수작품을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더욱더 심도있게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도 두고 두고 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고 단 1주일 정도의 시간내에 실시해야 한다. 교사들이 개학과 함께 정신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는 이유이다.

특히 과학과의 경우는 학생들에게 탐구보고서작성을 과제로 부과하는데(아마도 전국 대부분이 비슷한 사정일 것이다.). 이 과제를 검토하는 것이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동안 몇십년을 두고 똑같은 과제를 부과 했기 때문에 더이상 수행할 과제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럴수록 일일이 꼼꼼히 검토를 해야 표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잘된 작품은 지역교육청을 거쳐 서울시대회까지 참가하게 되는데, 만에 하나 표절작을 잘못 선정하여 학교대표로 내보낸다면 학교는 물론 교육청도 일대 망신이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교사들이 심혈을 기울여 검토하는 방법이 최고이긴 하지만 교사들도 어쩔 수 없는 사람이다보니, 간혼 놓치는 경우도 발생하곤 한다.

이렇게 검토가 어려운 이유는 요즈음 시대에 걸맞게 사이버공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과제를 해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방학숙제는 어떤 것이라도 1,000원에서 5,000원만 투자하면 다 해결할 수 있어요. XX사이트는 더 싸게 할 수도 있어요.'라고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수행평가나 기타과제를 대신해주는 사이트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비용이 어느정도 드는지는 자세히 알고 있지 않았었다. 이미 학생들에게는 보편화된 방법이라는 것이다. '요즈음처럼 학원다니느라 바쁜데, 누가 방학숙제하고 있어요. 그냥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고 좋거든요. 사실 조금 양심에 찔리긴 하지만요.'

실제로 탐구보고서 검토를 하면서 의심스러운 보고서를 인터넷을 통해서 검색을 해 보았다. 그랬더니 놀랍게도 그 보고서는 인터넷에서 그대로 복사해온 것이었다. 탐구동기는 물론 실험방법까지 거의 유사하게 나왔다. 그러한 보고서가 여러개가 발견되었다. 이런 것들은 비용이 들지 않는 것으로 인터넷에 예전의 보고서가 카페나 블로그등에 올라온 것을 학생들이 그대로 복사한 것들이다. 정말 어이없는 일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다.

학생들의 이런 모습을 탓하기는 하지만 전적으로 학생들만 탓할 성질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매년 같은 과제가 반복되다보니 더이상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가 나오기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도 궁여지책으로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래도 스스로 실험하고 스스로 탐구하여 과제를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일부학생들은 아주쉽게 해결할 방법만을 고집하고 있는 것이다.

학생들 중에는 인터넷자료를 참고하여 더 발전된 탐구를 하는 경우도 있다. 도리어 이전의 탐구보다 더욱더 발전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런 학생들에게는 인터넷 활용이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문제는 그대로 복사하는 학생들이다. 결국은 학생들의 어려움을 어느정도 이해한다고 해도 성의있게 과제를 수행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의 차이로 본다. 자신이 뭔가 직접 수행하려는 마음가짐이 있고, 없고의 차이라는 이야기다.

학생들의 과제를 검토하는데에 1주일 이상이 걸린다. 많은 보고서를 인터넷 검색을 통해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럴듯한 보고서일수록 스스로 수행한 것이 많지 않은 편이다. 스스로 열심히 한 보고서 일수록 좀 허술해 보이는 경우가 많다. 비용을 들인 보고서는 외관상 매우 완벽해 보인다. 그렇지만 결국은 그 자료가 다른 학생들의 것과 상당히 유사한 경우가 많다. 결국은 외모가 다소 허술해도 스스로 하는 것에 교사들은 높은 관심을 갖게된다. 인터넷을 활용한 과제수행은 한계가 있다. 자신을 위해서도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요즈음의 방학과제는 정말 극과 극을 달리고 있다는 생각이다. 학생들의 변하는 모습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어렵게 해결하는 과제야말로 성취감이 매우높고 학생자신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킨다는 사실을 하루빨리 깨달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