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1.1℃
  • 맑음강릉 8.7℃
  • 맑음서울 14.3℃
  • 구름많음대전 15.9℃
  • 흐림대구 12.3℃
  • 박무울산 10.3℃
  • 흐림광주 17.4℃
  • 흐림부산 12.9℃
  • 흐림고창 14.9℃
  • 흐림제주 17.0℃
  • 구름조금강화 12.6℃
  • 흐림보은 11.8℃
  • 흐림금산 13.9℃
  • 흐림강진군 14.9℃
  • 흐림경주시 9.9℃
  • 흐림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정상적인 임용절차를 거친 교장도 그런데

교장임용제도 개선의 일환으로 시범운영에 들어간 무자격 교장공모제를 두고 논란이 거세다. 특히 일선학교의 교원들 사이에서도 긍정과 부정으로 나누어져 일상대화에서 심심찮게 이슈가 되고 있다. 긍정쪽은 '혹시 나도'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있는 반면 부정쪽은 '이런식의 교장임용은'이라는 전제를 달고 이야기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은 긍정쪽 보다는 부정쪽의 의견이 많다. 더우기 적극적으로 찬성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 전교조의 조합원들 마저도 교장공모제는 잘못된 제도라는 의견을 많이 이야기 한다.

불과 며칠전까지만 해도 찜통더위로 정상적인 교실수업이 어려웠었다. 이에따라 교육부에서는 각급학교에 폭염에 대비한 수업대책을 세우라는 공문을 보냈었다. 일부 교육청에서는 그 대책을 세워서 보고하라는 공문까지 있었다고 한다. 많은 교사들은 찜통더위때문에 정상적인 수업이 어려운점을 감안한다면 최소한 단축수업정도는 학교장이 허용할 것으로 생각했었고, 많은 학교들이 그렇게 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의 학교는 단축수업이나 방학연장등의 그 어떤 조치도 내리지 않았다. 이런 사정때문에 학부모들 사이에서도 '어느학교는 단축수업없이 수업을 하는데, 우리아이 다니는 학교는 단축수업을 한다. 우리아이 다니는 학교가 손해를 보는 것이 아니냐'는 막연한 불안감을 보이기도 했다. 단축수업이라고 해봐야 겨우 매 시간당 5분정도 단축하는 것이 전부인데도 그것이 큰 문제인 것처럼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교육과정운영 지침에 보면 5분단축은 폭염이 아니더라도 학교장이 발휘할 수 있는 권한으로 되어있다.

다소 이야기가 빗나간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이와관련하여 교사들도 이야기를 많이 했었다. '학교장이 주어진 권한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다른학교 눈치보느라 제대로 권한발휘를 못하고 있다. 그 사이에 학생들만 찜통더위에 고통받고 있다. 학교장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등의 이야기였다. 어느 전교조소속 교사는 '정상적으로 오랫동안 준비된 상태에서 임용된 교장인데도 이렇게 권한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데, 무작격교장을 임용하는 공모제가 시행되면 학교장이 제대로 권한을 발휘할지 의문이다. 제대로된 리더십은 하루아침에 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데,,,,,교육부에서는 이런 현실을 알기나 하는지 모르겠다. 교장은 아무나 하는 줄 알고 있는 모양이다. 대통령 아무나 못하듯이 교장도 마찬가지이다. 일단 되고나면 다 해결될 것으로 보이지만 준비없이 갑자기 교장이 되면 더욱더 학교를 혼란스럽게 할 뿐이다.'라는 이야기를 했다.

정말로 의미있는 이야기가 아닐 수 없다. 교육부에서 아무리 억지로 밀어 붙인다고 해도 그 결과가 뻔히 보이는 제도이다. 이미 공모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드러났다. 그래도 교육부는 문제가 없다고 우길 것이다. 교사들의 생각이 다양하겠지만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것이 사실이다. 그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그 대책속에는 교장공모제 시행이 성급했다는 부분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성급하게 법개정으로 밀어붙이는 일은 없어야 한다. 시간을 두고 공모제가 시행되는 학교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관련법안을 폐기하거나 입법화하거나 해야 한다. 문제많은 교장임용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하고자 했던 교장공모제가 도리어 더 많은 문제를 발생시킨다면 당연히 해당법안은 폐기되어 마땅하다. 개선이 안되는 제도를 계속밀어불일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교육부와 정치권의 현명한 판단을 촉구한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