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되풀이되는 수험생의 성적비관 자살. 2003년도 대입수능에서도 예외 없이 학생을 자살로까지 몰고 간 수험생들의 학력저하 현상은 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까, 아니면 고등교육의 구조적 한계에 직면한 국가의 지적 파탄을 예고하는 불길한 전주곡일까.
# 대중 영합’교육이 도쿄대를 망쳤다
‘도쿄와 삿포로 사이의 직선 거리(831㎞)’가 100㎞ 이하? ‘지구 둘레(4만㎞)’가 6000㎞에서 1만㎞? 농담이 아니다. 일본 최고의 수재들이 모인다는 도쿄대, 그것도 이과 학생의 일상 추정치라면, 저자가 이들을 ‘바보’라고 부르는 것도 무리는 아닐 듯 싶다.
저널리스트이자 문화평론가인 다치바나 다카시 씨는 뉴턴의 역학도 모른 채 기계공학을 전공하려 하고, 의사지망생 중엔 고교시절 생물과목을 배우지 않아 중학생 수준의 생물지식을 지닌 경우도 있다고 폭로한다. 저자는 이것이 문부성 탓이라고 진단한다. 1980년대 이후 수험생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명분으로 '융통성 있는 교육'을 실시한 것이 심각한 학력저하 현상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고교 이수과목을 줄이고 대입수험과목을 대학별 학과별로 자율화했으니 고교생들이 폭넓은 지식을 쌓을 리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일본교육의 본질에 있다고 지적한다. 국가 주도의 획일적, 암기식 교육을 실시하다 보니 창조성 결여, 강자에게 허리를 굽히는 나약함, 법률·전례 만능주의 등 폐해를 불러왔다고 저자는 꼬집는다. '서울대가 망해야 나라가 산다'고 했던가. 어쩌면 이리도 우리의 현실과
붕어빵처럼 닮아 있을까.
# 교양부터 쌓아라
대학의 본분은 ‘스페셜리스트’배출을 넘어, 전반적 지적 능력이 높은 ‘제너럴리스트’를 키워내는 것이지만 도쿄대는 이에 실패하고 있다. 이처럼 교양 교육이 무너지게 된 주 이유는 취득 학점 축소(서울대도 1996년 이수학점이 150에서 140으로 줄었다)와 대형 강의(한국의 어떤 대학이나 그렇다)가 주범이라고 결론짓는다.
대학 교육 개혁을 위해 저자는 제비뽑기로 학생을 선발하자는 기발한 주장을 내놓는다. 기존 방식으로 3/1, 특정 과목에 강한 학생을 3/1, 그리고 제비뽑기로 3/1을 뽑아 선발 채널을 넓힌 뒤 엄격한 학사 관리로 졸업생의 질을 높이자는 것. 또 시험장에 사전과 컴퓨터 등을 지참하도록 허용할 것, 중·고교 과정을 5년으로 통합하고 교양 과정 3년·전문 스쿨 3년으로 대학의 학제를 개편하자는 획기적인 주장도 내놓았다.
그러나 그가 주장하는 근본 해결책은 '자신의 머리를 가진 수재'를 키우는 교양교육에 있다. 교양이란 현대사회를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이며 이런 현대 교양은 상식백과 등 책 한 권을 독파하는 것으론 얻을 수 없다고 그는 강조한다. 결국 '사람이 알아야 할 것'이란 부제로 지난해 출간되어 눈길을 끌었던 디트리히 슈바니츠의 '교양'과 같은 서적으론 한계가 있다는 의미다.
# 처방은 그럼 무엇일까
그는 현행 일본식 교육은 선진국을 따라잡는 데는 효과적일지 몰라도, 선진국과 경쟁할 단계에 이르면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강조한다. 또 문부성이 이끄는 '지적(知的) 망국'의 길을 걷다가는 일본은 앞으로 반세기 정도는 죽을힘을 다해 선두 그룹을 따라잡아야 하는 비참한 국가가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 바른 글 쓰기 실력과 허위와 오류를 간파할 수 있는 능력, 커뮤니케이터로서의 능력을 갖춘‘교양인’을 키워내야 그 사회에 미래가 있다고 다카시는 결론짓는다.‘교육 개혁’이란 이름으로 지난 몇 년간 흡사한 과정을 밟아온 우리에게 이 책은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기에 새겨 볼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