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가 시작되면 관리자나 교사들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여러 가지 형태로 학부모 연수가 필요하다. 관리자나 교사들을 위한 테마별로 학부모 연수내용을 제1회에 이어 탑재하니 관심 있는 분은 참고하기 바란다
어린이들은 TV보기를 좋아한다. 과거에 어린이 시간에 방영되던 만화극 「황금박쥐」같은 활극은 아주 인기를 끌었다. 이 프로를 본 어린이의 십중팔구는 이 프로의 주제가를 아주 잘 부르며, 흉내도 썩 잘 낸다. 그런데 이런 어린이를 보는 어른들은 “우리 아이들은 TV의 황금박쥐 흉내를 내서 큰일이다.” 라고 말한다.
또 “빨간 모자, 검은 입마개, 노란 목수건을 휘날려가면서… 이런 흉내만 내고 있으니 걱정이 된다”고 말한다. 그리고는 “공부하는 데도 이런 식으로 좀 열심히 미친 듯이 한다면 얼마나 좋을까”하고 걱정하기도 하는 부모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왜냐하면 모험적인 얘기 등에 호기심을 갖는 것은 극히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기 때문이다. 모험이나 탐정 얘기를 재미있어 하는 것은 어린이의 본성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억지로 이를 억누를 이유는 없다고 본다.
오히려 어린이의 이러한 본성을 잘 알아서 공부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는 편이 훨씬 지혜롭다고 하겠다.
최근의 교육심리학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자들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연구를 하고 있다.
그 럼 먼저 「동기」와 「동기유발」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동기」란 무엇인가? 사람의 행동에는 반드시 그 원인이 되는 어떤 동기가 있기 마련이다. 동기가 없는 행동이란 부자연스러운 행동이 된다.
즉, 그것은 외부의 어떤 강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행동이라 하겠다. 따라서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숨은 무엇인가가 바로 동기라고 한다. 「동기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동기심리학자 간에도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통된 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심리학자 힐은 동기란 행동의 정력화라고 말하고 있다. 즉, 동기는 행동에다 정력을 불어넣어 주는 기능이라고 하겠다. 다시 말하면 배가 고프면 누구나 먹을 것을 찾는다. 또 목이 마르면 물을 찾는다. 이와 같이 생리적인 조건이 어떤 것을 찾게 될 때 행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 조건이 곧「동기」가 되는 것이다.
둘째로 동기는 행동의 반응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자극에 반응을 활발하게 보이는 것이 동기라는 것이다. 예컨대 남들이 운동경기를 재미있게 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면 친구들과 같이 자신도 운동을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된다.
셋째로 동기는 행동의 방향성이라 할 수 있다. 어떤 행동이 목적을 향해서 지향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기회만 있으면 훌륭한 사회적 명예나 지위에 올라가고 싶어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동기의 의미는 여러 가지로 달리 해석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이 어린이로 하여금 행동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것은 틀림없는 일이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동기는 어린이가 어떤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힘이라는 것이다. 어머니가 어린이를 움직이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가?. 예를 들면 “그림 두 장만 그리면 나가서 놀아도 된다”라고 하는 것은 곧 그림 그리는 동기부여를 한 것이 된다. 그러므로 교실에서 「수학」을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받은 어린이는 그러한 동기를 가지지 못한 어린이보다는 열심히 공부를 한다. 동기를 갖지 못한 어린이는 머리를 긁는 다든가, 손을 입에 물고 있다든가, 창문 밖을 내다본다든가 하면서 수학 문제를 풀지 않고 있을 것이다.
그러면 동기는 어떻게 하면 유발할 수 있을까? 즉, 어린이로 하여금 공부하고자 하는 의욕을 일으키게 하는 방법은 없는가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다. 우리속담에 “말을 물가까지는 몰고 갈 수 있어도 물을 먹일 수는 없다”는 말이 있다. 이것은 학습을 하고자 하지 않는 어린이에게는 공부를 시킬 수가 없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기도 하다.
제 아무리 우격다짐을 해도 공부할 마음이 전혀 없는 어린이에게는 학습을 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문제는 어떻게 하면 어린이 스스로가 자기 주도적으로 자진해서 학습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가?, 즉 학습에 마음이 이끌리도록 할 것인가 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로 기분을 좋게 해주어야 하겠다. 교육심리학자 손다이크 교수는 기분을 상하게 한 학습은 노력을 약하게 하며, 학습을 혼란하게 만든다고 말하였다. 즉, 기분이 좋지 못하면 만사가 싫은 법이다. 특히 어린이들은 기분에 좌우되기 쉽기 때문에 정서적 안정에 깊은 관심을 두어야 학습능률이 높아지게 때문이다. 기분이 좋으면 무슨 일이든 손에 잘 잡히고 칭찬을 들으면 계속해서 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자기 결점을 들추어 꾸지람을 들으면 불쾌해지므로 자연히 하기 싫어지는 법이다. 따라서 공부하게 하려면 먼저 아이들의 기분을 좋게 해주어야 한다.
둘째로 흥미를 갖게 하여야 한다. 미국 교육철학자 듀이는 어린이들은 흥미를 갖지 않은 대상에 대해서는 행동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흥미 없는 것에는 학습이 일어나지 않는다. 흥미는 배움의 출발점이고 도달점이라 할 수 있다. 처음부터 흥미가 없는 일이라도 훈련과 의지에 의해서 집착하고 전념하면 흥미가 일어난다고 한다. 그러므로 학습뿐만 아니라 기타 활동에 있어서도 흥미를 일으키게 하는 것은 대단히 자연스럽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왜냐하면 흥미에 의한 활동은 능률을 촉진시켜 주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독서를 싫어하는 어린이에게 그 아이가 좋아하는 개나, 토끼․새에 대해서 쓴 책을 읽게 하면 퍽 효과적이다. 그러다가 차츰 흥미의 대상을 바꾸어 나가면 된다.
셋째로 칭찬을 많이 해주어야 한다. 칭찬은 어린이가 존경하는 사람으로부터 미움을 받고 있는 분 또는 존경을 받지 못하고 있는 분으로부터 어린이라 칭찬을 받을 때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도리어 역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우수한 어린이는 보통 어린이보다 야단치는 일이나 질책에 민감하다. 그리고 여자 어린이는 남자 어린이보다 칭찬에 더 민감하다.
특히 열등감이 있는 아이와 정서가 불안한 어린이에 대해서는 꾸중을 삼가는 것이 좋겠다. 열등아에 대해서는 훨씬 더 칭찬을 많이 해주면 학습을 할 때 많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로크 교수의 연구에 의하면 질책은 칭찬보다 성적의 진보가 적다고 한다. 그는 칭찬을 한 집단, 질책을 한 집단, 무시를 한 집단, 통제를 한 집단 등의 네 집단으로 어린이들을 나누어 실험한 일이 있다. 수학과목을 학습시켰는데 그 결과는 이렇게 나타났다.
칭찬한 집단은 점진적으로 계속 성적이 좋아졌고, 꾸지람을 한 집단은 처음에는 성적이 좋아졌으나 후에 가서는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그리고 무시한 집단과 통제한 집단은 별 진전을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