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에 비해 대체로 교과서가 많은 우리나라는 교과별 적용해야 할 학습지도 모형도 다양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한시간에 여러 가지 수업 모형을 적용해야 하는데 바른 생활과 관련된 교수-학습지도 모형 중 역할 놀이학습을 안내하니 교수-학습에 참고하기 바란다.
역할놀이는 학급 전체의 학생들이 서로 어떤 상황에 대해 토론하고, 주어진 상황 속의 인물들이 다음에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를 예상하여 시행해 보며, 이 같은 행동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서 평가해 보고, 주어진 상황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게 된다.
그럼 역할놀이 수업의 교수-학습을 어떻게 진행하면 좋을까?
첫째, 상황 설정하기 시연할 역할 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이루어진다. 상황 설정하기에 처음은 집중시키기로 학생들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교사는 학생들의 관점, 느낌에 따라 행동 통제 없이 탐색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며, 문제를 분명히 제시한다. 실제 상황을 서술하고, 교사가 상황을 선정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쇼의 형식으로 예시하는 것이다. 이야기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의 장점은 학생들이 활동에 참여하는 부담이 가벼워진다. 문제를 소개하고,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해석하고 탐색하게 된다.
둘째, 준비 및 연습 다양한 배역들에 대해 설명하고, 학생들에게 역할 놀이에 자원하라는 요청을 한다. 역할 선정시 교사는 성인을 흉내내고, 사회적으로 객관화된 설명을 제시하는 학생들에게 역할을 배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음은 무대를 설치하고 역할 놀이 실연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 역할들의 재 진술 - 문제 상황의 내면 파악 - 관찰자의 관찰 관점 정하기 - 관찰 과제 할당 순으로 이루어진다.
셋째, 실연하기 놀이 참여하는 학생은 역할을 실행하고 각자 현실적으로 반응하면 자율적으로 그 상황을 그대로 실연한다. 역할 놀이는 유창한 극화가 되리라고 기대하지 않고, 각 역할 놀이에 참여하는 학생이 어떻게 반응할 것인지에 대한 불확실성은 그 역할을 느끼는 것의 부분일 뿐만 아니라 생활의 부분이다. 교사는 제안된 행동이 분명하고, 특성이 나타나며, 행동적 기능이 연습되고, 곤경에 도달하며, 또는 행동이 그 관점이나 아이디어를 나타날 때까지만 실연을 진행시켜야 한다. 또한 후속 토의가 사건이나 역할에 대한 학생의 이해를 빠트린 것이라면 교사는 그 장면을 재현하도록 요구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평가하기 역할 놀이 후 관찰자와 놀이에 참가하는 학생이 서로 토의를 하고 교사가 정리하는 단계이다. 처음의 토의는 묘사한 것에 대한 서로 다른 해석, 그 역할이 어떻게 수행됐어야 하는지에 대한 불 일치점에 초점을 둔다. 그 불일치에도 불구하고 중요시되는 것은 그런 행동의 결과 행동의 동기이다. 교사는 놀이에 참여하는 학생의 관찰자와 토의를 통해 경험을 관찰하고 일반화하게 된다. 관찰자가 역할 놀이에 참여하는 학생에 따라 생각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는 ‘00이 그 말을 했을 때 그가 어떻게 느꼈으리라고 너는 생각하니?’와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