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이곳저곳에서 꽃들이 활짝 웃고 있다. 나중에 아이들의 간식거리가 되는 앵두꽃도 흰 눈망울을 내밀었고, 치마 입은 여자아이들로 하여금 나무를 타도록 유혹하는 살구나무에도 이른 벌들이 잉잉거리며 향을 즐긴다.
피어나는 봄은 아이들 마음속에 들어가 바람이 된다. 나근나근한 바람이 되기도 하고, 간질간질한 바람이 되기도 한다. 그러면서 아이들 치마폭은 짧아지고 아이들 얼굴은 화사해진다. 봄바람이 든 것이다.
지금 3학년인 은미(가명)이도 그랬다. 지난 2년 동안 바람이 잔뜩 들어 늘 혼나기만 했다. 2학년 첫 수업 시간 은미는 화사한 얼굴을 하고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 통통한 볼은 불만이 가득 찬 모습이었다. 이름을 부르고 눈을 마주쳤을 때 은미는 심드렁하게 날 바라보았다. 관심 없다는 표정이다.
첫 만남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그러나 아이는 자주 자리를 비웠다. 며칠 째 결석을 하든가 여러 가지 문제로 학생부에 불려갔다는 것이다. 자리를 자주 비우면서 아이는 한 마디로 문제성 있는 꾸러기로 찍힘을 당했다. 그런데 어찌 된 일인지 내 눈에는 그 아이가 예뻐 보였다. 얼굴을 볼 때마다 복도건 교실에서건 짧게, 짧게 이야기를 했다. 또 수업 들어가 보이지 않으면 “야! 우리 은미 왜 안보여?” 하든가, 자리에 있으면 부러 찾아 말을 걸곤 했다. 며칠 동안 결석하고 학교에 오면 반갑게 말을 걸었다.
“야, 어디 갔었어. 너 보고 싶었는데. 너 안 보이면 궁금해지거든. 안 궁금하게 해라. 알았어?” “히히, 저 그렇게 보고 싶었어요. 선생님 나 좋아하는구나.”
그렇게 웃으며 다시 만난 녀석은 2학년 1년 동안 자기 자리를 비웠다 채웠다 했다. 그럴수록 난 그 아이와 더 가까워졌다. 이야길 하면서 한 번도 혼내지 않았다. 그저 간지럽고 무거운 마음을 긁어주고 다독여줄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 그런 아이들은 가슴에 말 못할 멍울 몇 개 정도 달고 다니는 아이들이다. 은미도 그랬다.
은미는 손가락에 상처가 있다. 휘어있기도 하다. 아빠한테 맞아서 그렇게 됐다고 한다. 엊그제도 눈 밑에 손톱자국이 있어 왜 그러냐고 물으니 그냥 웃고 만다 . 이젠 웬만한 일은 기별도 안오는듯 심드렁하다.
은미의 장점은 자신의 단점도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한다는 점이다. 아빠한테, 선생님한테 꾸중 들고 혼났다는 얘기도 남의 일처럼 말한다. 이젠 아픔이라는 것에 면역이 든 것은 아닌지 싶을 정도다. 난 그런 아이의 이야길 들을 때마다 마음이 짠했다. 그때마다 은미에게 해줄 수 있는 건 한 번 웃어주고 “힘 내!” 이 한 마디 밖에 없다.
그런데 3학년 올라간 은미가 날 볼 때마다 ‘아빠!’ 하고 부르기 시작했다. 밖에서건 복도에서건 날 보면 ‘아빠!’ 하고 인사를 하거나 달려온다. 아이들이 많은 곳에서도 은미는 서슴지 않고 아빠라고 부른다. 다른 아이들이 이상하다는 표정을 지으면 ‘우리 아빠야.’ 하고 말한다. 그러면서 가끔 껌이나 사탕 몇 개를 주머니에서 꺼내 주기도 한다. 얼굴엔 방글방글 미소를 머금고 말이다. 그런 아이에게 “학교생활 재밌니?” 하고 물으면 “네~! 우리 담임 쌤도 저 이쁘데요.” 대답하곤 쪼르르 달려간다.
가슴에 커다란 멍울을 달고 있을 터인데도 어두운 기색은 보이지 않는다. 학교 그만둔다 어쩐다 한 때가 엊그제 같았는데 저렇게 예쁜 모습으로 생활하는 모습을 보니 기특하기도 하고 사랑스럽기도 하다.
가끔 아이들은 이렇게 말한다. 어른들은 이해는 하지 않으려고 하고 말만 한다고. 어른의 입장에서 어른의 눈으로만 판단하고 훈육한다고. 그 어른에 나도 포함되지만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조금은 미안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른들은 아이들이 지금 화사하게 피어나는 봄꽃처럼 아름답게 피어 향기를 내고 튼실한 열매를 맺기를 기대한다. 내가 은미에게 기대하는 것처럼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