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0.3℃
  • 구름많음강릉 7.1℃
  • 맑음서울 11.1℃
  • 박무대전 12.3℃
  • 박무대구 12.9℃
  • 박무울산 11.3℃
  • 구름조금광주 12.5℃
  • 박무부산 12.5℃
  • 구름많음고창 11.2℃
  • 구름조금제주 12.9℃
  • 맑음강화 10.5℃
  • 흐림보은 12.3℃
  • 맑음금산 11.1℃
  • 맑음강진군 13.0℃
  • 구름조금경주시 9.6℃
  • 흐림거제 13.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우리가 만든 협동장난감




1조 악어놀이 - 악어 입에 손을 넣다 빼어 잡히면 술래가 되는 놀이
2조 고리걸이 - 실에 달린 고리를 나무젓가락에 거는 놀이
3조 가족놀이 - 텔레비전 상자에 얼굴을 넣고 표정을 짓는 놀이
4조 로봇놀이 - 무선장치로 로봇을 움직여 가는 놀이
5조 개집놀이 - 개가 되어 개집을 들락날락 거리는 놀이
6조 판자놀이 - 골판지를 상자에 던져 골인하면 이기는 놀이


우리반 아이들이 의논 끝에 결정한 협동장난감의 발표를 듣고 나는 세 번 놀랐다. 우선 놀잇감의 다양함에 놀랬고, 어른의 시각으로 봤을 때 시시한 것들이 1학년 아이들에게는 대단한 것이 됨에 놀랐고, 그것을 만들 준비물을 배당하는데 너무도 합리적인 것에 놀랐다. ‘이 꼬망이들을 데리고 어떻게 협동장난감을 만들지?’하고 우려했던 나를 비웃듯 아이들은 준비부터 제작하고 놀이하는 데까지 담임선생님이 필요 없을 정도로 너무도 의젓하게 잘해내었다.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협동장난감을 만들던 날…. 커다란 박스들이 여기저기에 등장하고 교실의 공기는 한없이 들떠 금방이라도 날아갈듯 술렁였다. 슬기로운 생활 시간이 되자 아이들은 환호성을 지르고 뭐가 그리 즐거운지 해해호호 희희낙락 까르르 깔깔 난리도 아니었다. 아이들이 모둠별로 협동장난감을 만드는 동안 나는 아이들의 단순노동자였다.

박스를 잘라달라면 잘라주고 구멍 뚫어달라면 뚫어주고 아이들 힘으로 할 수 없는 칼질이나 두꺼운 박스를 자르는 일이 내 소일거리였다.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고생이라고 하더니 내가 꼭 그 짝이 된 기분이었다. 요즘 박스는 왜 그리도 견고하게 만들어 큰가위로도 잘라지지가 않던지, 칼은 더군다나 들어가지도 않아 쩔쩔 매었다. 아이들은 이렇게 부려먹을 때만 찾고 엄청 대단한 것이라도 만드는양 코를 박고 난 쳐다봐 주지도 않았다.

조금만 손해본다 싶으면 공부시간에 뒤돌아본 것도 서로 일러주던 놈들이 오늘은 서로서로 도와가며 아주 의젓하기 짝이 없었다. 개는 개집보다 더 크게 만들어서 들어가지도 않고, 악어는 손을 빼는 시간보다 더 늦게 닫쳐서 기능이 떨어지는데도 아이들은 오리고 붙이고 너무도 열심이었다. 땀흘려 만든 협동장난감이 드디어 완성되고….

한바탕 모둠별 협동장난감 자랑이 끝난 뒤, 직접 놀이 시간에 들어갔다. 자기들이 직접 만든 장난감으로 논다는 흥분에 교실은 완전 아수라장이었다. 땀을 삐질삐질 흘려가며 얼마나 열심히 놀던지 축제가 따로 없었다.

하지만 눈물을 글썽이며 탄원을 하는 아이들이 생겨났다. 이유인 즉슨 자기네들이 공들여 만든 것을 다른 조들이 체험하면서 다 망가뜨린다는 것이었다. 원래 놀이기구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면 망가지기 마련이니 놀이가 끝난후 수선을 하자고 달래었다. 다른 체험은 신나게 하면서도 자기네들이 만든 장난감이 부서지니까 속상한 모양이었다. 끝나고 나서는 아이들은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테이프를 들고와서 자기들이 만든 장난감을 수선하느라 바빴다. 

그리고 평가 시간...아이들에게 가장 재미있었던 놀이가 뭐였느냐고 물었더니 5모둠의 개집놀이를 꼽았다. 자기 몸만 겨우 들어가는 개집 속에 들락날락거리는게 신났던 모양이었다.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아이들은 등교하자마자 개집을 들락거리며 놀았다. 얼마나 좋아라하는지 차마 교실이 복잡하다고 치울 수가 없었다. 피난민의 집처럼 박스가 널브러져 볼썽사나와도 너덜거려 헤질 때까지 교실에 놔두었다.

정형화되지 않은 아이들의 협동장난감만들기 시간... 나 또한 내 몸이 개 집에 들어가나 안들어가나 실험해보며 동심으로 돌아갔던 즐거운 시간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