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니 뭐해?”
“어, 나 지금 상 받고 집에 가는 중이야.”
“이번엔 또 뭔 상인데?”
“어, 자랑스러운 동요인상이야.”
“건 또 뭐야? 하도 자주 받으니까 뭐 재미가 없네. 히힛.”
“야, 올해 첨 받았는데 뭔소리야?”
“암튼, 상금이 어마어마하다면 모를까 이젠 놀래지도 않아”
“지지배”
여동생과 나의 전화 대화다. 내가 처음 상을 받았을땐 ‘역쒸 대단한 우리의 언니’라고 치켜세우던 여동생이 이젠 대수롭지 않다는듯 심드렁하게 군다. 수상 소식을 알리지 않았다고 섭섭해하지도 않고, 뒤늦게 안다해도 축하해라는 말한마디 건네지 않는다. 그저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이렇게 농담처럼 넘어간다.
하긴 매년 크고 작은 상을 두세개씩 받아왔으니 제 3자의 입장에서 그런 오해를 할만도 싶다. 작년에는 교육부장관상과 한국문학예술상을 받았고, 재작년에는 교육감상과 수필신인상을 받았고, 재재작년에는 글짓기지도교사상과 강서문학상을 받았고…. 이렇게 자화자찬격으로 상명을 늘어놓고 보니 내가 봐도 상복은 많은 듯싶다. 직업인 교육계와 취미인 문단계 양쪽에 걸쳐있어 상 받을 기회가 많아 그런 모양이다.
하지만 상이라는 것은 골백번을 받는다 해도 기분 좋은 것이라서, 이번처럼 전혀 생각지도 않던 곳의 수상 소식은 날 어둠에서 빛으로 인도했음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아직도 내가 쓸모있다는 기쁨, 타인에게 인정받는다는 기쁨으로 삶의 희망이 샘솟기 때문이다. 마음처럼 몸이 따라주지 않아 많이 아팠고 빌빌대었던 올해는 더욱 수상 소식이 반갑다.
그러면서도 생각하게 된다.
‘왜 나보다 뛰어나고 능력 있는 사람이 많은데 날 수상자로 지목했을까?’
‘아직 인지도나 실력 면에서 많이 부족한데 왜 내가 되었을까?’
앞으로 더욱 더 잘하라고 주는 격려의 상이 아닌가 하는 결론에 다다른다.
2008년 11월 9일 일요일 오후 3시, 종로구민회관에서 ‘어린이를 위한 새노래 32집 발표회’를 하던 2부 첫 순서에, 동요를 사랑하는 작사․작곡가 대선배님들과 동요를 사랑하는 아이들 앞에서 상을 받았으니 더욱 더 분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수상소감에서 밝혔듯이 ‘올해의 자랑스러운 동요인이라는 상명에 걸맞게 자랑스러운 작사가가 되도록 노력하겠다’는 그 약속을 잊지말아야겠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로서도 동요작사가로서도 정말 자랑스러운 정명숙으로 남기를 희망하면서…. 그리고 내게 수상의 영광을 안겨준 한국동요음악협회의 무궁한 발전도 함께 기원하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