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동고 김영탁교사(62)의 삶은 절반 이상이 농악으로 채워져 있다. 사라져가는 우리 전통농악을 발로 뛰어 찾아내고 그 것을 글로 묘사하는 작업을 한 지 어느덧 30년이 훌쩍 넘었다. 그가 농악과 첫 인연을 맺은 것은 고등학교 2학년 때.
"고향에서 농악경연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처음 들은 농악대 징소리에 혼을 빼앗겨 지금까지 농악에 빠져 살지요"
그의 고향은 연소농악(蓮沼農樂)으로 유명한 경북 문경 연소리. 8.15해방 10돌을 기념하는 면대항 농악놀이에 참가하기 위해 연습이 한창이던 시절 신징이라 불리던 징 덕분이었는지 그의 마을은 면대항전에서 1위를 거머쥐었다. 그런데 한 번 치면 소리가 열두굽을 넘는다는 신징이 어느 주정꾼에 의해 깨어져 버리고 말았다.
"교편을 잡고서도 그 징소리가 언제나 귓가에 맴돌았죠. 도저히 잊을 수가 없어 '징소리'를 주제로 소설을 써야겠다고 마음먹고 자료수집을 시작했지요"
막상 자료를 찾아보니 그렇게 허술할 수가 없었다. 율동으로, 가락으로, 이론으로 각각 달리는 어느정도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농악'을 문장화해 남기는 작업을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던 것이다. 자신이 할 일이 바로 이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때부터 농악패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찾아 나섰다.
가장 어려운 것은 농악패 상쇠를 만나는 일. 일정한 연락처가 없는 이들을 만나려고 시청이나 문화원에 연락, 어렵사리 수소문해 찾아가면 다른 곳으로 이동해 버리기도 했고 산간오지에서 길을 잃고 헤맨 적도 많았다. 그동안 그가 찾은 농악패는 전국 1백여개. 주술농악, 노작농악, 전립(전투)농악, 연예농악 등 종류도 다양한 소리와 춤을 글로 표현해 내기 위해 그는 사진과 비디오를 찍고 또 찍었다.
농악패를 좇은지 30년. 김교사는 올 봄에 그 첫 결실을 맺었다. 기행에세이 "恨과 신명의 춤사위-제1권 한박시"(다인刊)를 펴낸 것이다. 앞으로 "오지전립", "징소리", "12발 상모", "저승굿" 등을 계속 출간, 5권으로 우리 농악을 정리할 계획이다.
이달말 퇴직을 앞둔 교무실 그의 자리엔 징이 하나 놓여있다. 아무리 힘든 일이 있어도 고질적인 耳鳴도 징소리만 들으면 깨끗이 사라진다는 김교사. 그에겐 자신만의 멋진 '징소리'를 만들어 내겠다는 꿈이 있다.
"소설 '징소리'(가제)의 주인공 모습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어요. 5권의 기행문이 완성될 쯤이면 윤곽이 드러나리라 믿습니다. 그 소설을 꼭 완성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