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0 (수)

  • 구름조금동두천 -0.2℃
  • 구름조금강릉 8.5℃
  • 맑음서울 2.5℃
  • 구름조금대전 1.0℃
  • 맑음대구 3.3℃
  • 맑음울산 5.2℃
  • 맑음광주 6.6℃
  • 맑음부산 8.4℃
  • 맑음고창 3.5℃
  • 제주 12.3℃
  • 구름많음강화 1.0℃
  • 구름많음보은 -1.0℃
  • 구름조금금산 -0.4℃
  • 흐림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8℃
  • 구름조금거제 6.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입학사정관제도, 너무 서두르지 말라

입학사정관제도(Admissions Officer)란,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사정관이 수험생의 성적과 잠재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합격 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1920년부터 시행해오는 입시전형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공교육을 정상화하는 동시에 수험생들이 성적만을 올리고자 사교육에 집중하는 기형적 현상을 바로잡기 위해 2008년도부터 도입, 전격 시행하고 있다.

수능만으로는 학생들의 다양한 잠재능력을 평가하기에는 분명히 무리가 있다. 학생들은 젊기 때문에 앞으로 무한한 가능성이 언제든 열려 있기에 이 제도는 더욱 설득력이 있다. 때문에 각 대학마다 점수보다는 잠재력이 있는 학생들을 뽑겠다며 입학사정관제를 경쟁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당장 2010학년도 대학별 입학사정관 전형 숫자를 보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카이스트 150명(수시), 포스텍 300명(수시2차), 가톨릭대 84명(수시1차), 건국대(서울캠퍼스) 60명(수시1차), 고려대 880명, 동국대(서울캠퍼스) 64명(수시1차), 부산대 84명(수시), 서강대 64명(수시1차), 서울대 140명(수시 및 수능 이후), 성균관대 626명(수시1차), 숙명여대 230명(수시), 한양대 1000여 명, 한국외대 670명 등이다. 홍익대는 아예 2013년까지 미술대학 입시에서 실기시험을 폐지하고 심층면접만으로 대체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또한 입학사정관제를 시행하는 대학에 230억 원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해 이 같은 열기를 돕고 있다.

그러나 당장 입학사정관제가 실시되는 수시 2학기까지는 채 6개월도 남지 않았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입학사정관제도를 준비할 수는 없다. 3년 동안 착실하게 준비해도 부족한 판에 불과 6개월을 남겨놓고 입학사정관 전형을 따로 준비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당장 발등에 떨어진 수능에 매달려야 할 시간에 명확한 규정과 예시도 나와있지 않은 입학사정관에 매달릴 고3 수험생이 과연 몇이나 되겠는가.

또 한가지 입학사정관의 역량이 객관적으로 검증되지 않은데다 선발 작업의 공정성도 확인할 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정확한 평가가 되려면 그 학생이 제출한 자료를 토대로 직접 현장을 방문해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다. 예를 들면 A라는 학생이 방학 때마다 소록도에 가서 한센병환자들을 위해 봉사활동을 펼쳤다고 한다면 입학사정관이 직접 그 학생과 소록도를 방문해서 그 학생의 봉사활동 실적이나 성실성, 희생정신, 인간성 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평가가 될 것이다. 그러나 현행 인력으로는 이런 사정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구나 지난해의 예에서 보듯 많은 학부모는 입학사정관제도가 일부 특목고 학생들을 우대하기 위한 제도가 아닌가 하는 의심의 눈초리도 보내고 있다.

폐일언하고 어쨌든 이처럼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음에도 입학사정관제도는 분명히 학생들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주고 연간 20조 원이 넘는 사교육 시장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공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마지막 보루라는 생각이 든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도가 올바로 정착되기 위해선 일선의 고교교육과 긴밀히 연계하여 너무 서두르지 말고 차분하게 진행시켜야 한다. 지금처럼 고교교육과 너무 동떨어지거나 너무 앞서나가는 프로그램이 된다면 이 제도 또한 분명 실패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90년 동안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정착시킨 제도가 바로 입학사정관제도란 사실을 교육당국은 명심해야 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