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혈기에 제자들을 혼냈다가 학부모들의 항의를 받고 난 뒤에 벌주기를 포기한 자조섞인 선생님의 푸념이다. 그 뒤로 사소한 체벌은 없어지긴 했지만 대신 아이들을 방치하는 현상이 늘어났다. 해보고자 하는 교사의 의지가 꺽이다보니 체벌이 아닌 훈계조차도 기피하는 경향이 생겨난 탓이다.
그래서 생겨난 풍토가 교사들간의 훈계의 경중차다. 똑같은 학교 규칙을 두고도 어느 반에서는 엄격하게 다스리고 어느 반에서는 느슨하게 풀어주다 보니 형평이 맞지 않는 일이 생기는 것이다. 규칙대로 한 엄격한 반과 달리 느슨한 반에서는 그냥 눈감고 넘어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보니 아이들의 일탈행동이 도를 넘어서게 되는 것이다.
공부시간에 제멋대로 돌아다니지 않나, 큰 소리로 떠들며 공부를 방해하지 않나, 선생님 말을 들은 척도 하지 않나….
나쁜 버릇이 고쳐지지 않는 경우는 분명하다. 교사가 외면하기 때문이고 적극적으로 그 문제를 짚고 넘어가려고 하지 않는 탓이다. 괜시리 이래저래 간섭했다가 생기게 되는 부스럼딱지를 안고 가기 싫은 탓이다.
습관처럼 수업을 방해해도, 교실을 제 안방처럼 휘젓고 다니는 데도 그냥 내버려둔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연못물을 흐려놓는데도 언젠가는 맑아지겠지 하며 그냥 보고만 있는다. 아무 제지가 없다보니 아이의 행동은 더욱 더 거칠어지고 안하무인이 된다. 더욱 더 만만하다 싶은 강사선생님을 만나면 제 세상을 만난양 교실 분위기를 혼자서 이끌고 간다. 그러니 수업이 제대로 될 리가 없다. 그럴 때는 담임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대책을 세워줘야 하는데도 모르는척 그냥 그런 아이니 넘어가라 한다. 힘들면 다른 반으로 바꾸라는 한심한 대책만 내놓을 뿐이다.
담임도 어찌할 수 없는 아이를 강사는 또 무슨 힘으로 제지할 수 있겠는가? 먼저 담임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그 문제를 부모와 협의해야 한다. 그래야 아이도 행복해진다.
문제점은 그 아이의 행동이지 아이 자체가 아닌 탓이다. 그 행동만 제거해준다면 그 아이는 반듯한 아이로 제 몫 이상의 역량을 발휘하는 아이로 성정할 수 있다. 교육상담시간에는 그런 상담을 했어야 하고, 그런 문제점을 충분히 의논했어야 한다.
“네, 네 학교생활 너무도 잘하고 있습니다”가 아니고 “이 아이가 장점은 무엇이고 단점은 무엇입니다”라고 정확히 짚어줘야 한다. 그게 아이를 위한 제대로된 교육 상담이다.
“우리 선생님은 괜찮다는데 왜 안돼요?” “우리 담임은 아무 말도 안하는데 왜 다른 선생님이 나무래요?” 이렇게 타교사가 나무랬다고 아이와 학부모가 원망섞인 어조로 달려드는 경우도 생겨난다. 늘상 칭찬을 해주는 선생님만 좋은 선생님이고 잘못을 지적해주는 선생님은 나쁜 선생님으로 되는 경우이다.
학교의 수장은 어떤 문제든지 긁어 부스럼 만드는게 귀찮아서 학부모에게는 최대한 포용적으로 원하는 쪽으로 해주라고 하고, 학부모는 어떤 경우든 자기 자식은 잘못없다는 식으로 생떼를 쓰는 부류도 있고 보니, 소신하고는 거리가 멀어질 때가 있지만 그렇다고 아이들을 방치할 수만은 없지 않은가?
체벌을 못한다고 해서 훈계조차도 포기하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 자기가 저지른 잘못된 행동이 상대방에게 어떤 피해를 불러오는지 정확하게 인식시켜줘야 한다. 그래야 철부지 어른으로 성장하지 않는다. 어른이라고 다 철이 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는 아이들보다 못한 철없는 어른들이 많이 존재한다. 적어도 내 제자들이 그렇게 크지는 말아야할 게 아닌가?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프로그램을 보면 교육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려준다. 단순히 지금의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주위의 눈을 의식해서, 좋은게 좋은거라는 식으로 교사들이 아이들의 일탈행동을 외면한다면 우리는 교사로서의 자격미달임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교사들이여, 육체에 고통을 가하는 체벌의 매가 아닌 마음에 경종을 울릴 수 있는 훈계의 매를 자신있게 들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