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 날(5월 5일) 어린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행복을 도모하기 위해 정한 기념일 • 어버이 날(5월 8일) 어버이 은혜를 되새기자는 뜻으로 제정된 기념일 ◦ 스승의 날(5월 15일) 스승의 은덕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 • 성년의 날(5월 18일) 만 20세, 성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여 정한 날 • 부부의 날(5월 21일) 가정의 날인 오월(5)에 둘(2)이 하나(1)가 된다는 의미의 날
가정의 구성원인 어린이, 어버이, 성년, 부부의 날이 오종종 5월에 다 몰려있다. 사회를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단위인 가정의 소중함을 일깨우자는 취지의 달이기에 5월은 가정의 달임에 충분하다. 럼에도 불구하고 5월은 가정경제를 이끌고 가는 젊은 부모들에겐 그리 반갑지만은 않은 달이다. 목돈 들어갈 기념일이 줄줄이 사탕처럼 이어진 탓이다.
그렇다고 일 년에 한번뿐인 어린이날을 그냥 넘겼다가는 철없는 아이들 마음에 상처를 줄 것 같고, 그렇다고 남들처럼 해주자니 허리 휘는 소리 들리고…. 또 연이은 기념일인 어버이날을 그냥 넘겼다가는 연로하신 부모님께 불효하는 것 같고, 그렇다고 남들처럼 해드리자니 가계부 구멍 나는 소리 들리고…. 하지만 아무리 경제불황이라해도 특히 자식이라면 깜빡 죽고, 허리가 휘청휘청 하면서도 내 혈육을 위해서라면 한 몸 부서지는 희생을 마다않는 우리네가 아니던가? 그렇지만 그 대상이 피한방울 섞이지 않은 스승일 경우라면 문제는 달라진다.
지인은 내게 묻는다. “스승의 날엔 어떤 선물이 좋아?” “웬 선물? 그딴 거 하지마.” “세상에 너 같은 선생만 있는 줄 아니? 바라는 선생도 있어.” “그건 오해야. 정 하고 싶다면 감사의 편지를 드려.” “그래도 어떻게 편지만 딸랑 주냐?”
지인의 딸은 내게 하소연한다. “울엄마가요, 저보고 돈덩어리래요.” “왜?” “어린이날 선물 사주느라 돈 들고, 스승의 날엔 유치원 선생님이랑 학원 선생님 선물사야 돼서 돈든대요. 그래서 돈덩어리래요.”
<주부 18% 스승의 날 선물로 아이 차별받아>라는 기사에 이런 댓글이 실렸다. “스승의 날이 아니라 선생님 씹는 날인 거 같어. 항상 스승의 날 가까워지면 이런 기사만 뜨네. 뭐할려고 스승의 날은 만들어가지고... 얼른 없애버려라.” “스승의 날을 없애던가 2월로 옮기라니깐... 학부모가 봉이냐?”
바라는 선생님이 있다는 젊은 부모의 말, 선생님들 선물 땜에 돈덩어리라는 말을 들어야 해서 고민인 일곱 살 아이, 스승의 날을 없애버리라는 비판의 댓글들….
이제 뭔가 결단을 내려야하지 않을까? 매년 스승의 날로 인하여 서로 심리적인 부담을 느낄 바에야 아예 스승의 날을 옮기는 것은 어떨까? 학생의 날이 있는 11월로 옮기는 것은 어떨까? 학생과 스승 궁합이 맞지 않은가? 전보다는 스승의 날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이 줄어든 추세라고 해도 스승의 날이 가정의 달인 5월에 꼽사리로 끼어있는 한 어쨌든 불편한 신세를 못 벗어날 것이라 여겨진다.
‘瓜田李下’ ‘오이밭에서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자두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 신지 말라’고 했다. 꼭 5월이어야 하는 필연적인 이유가 없다면 서로에게 부담 없는 맘 편한 달로 옮김이 어떨지…. 늘 되풀이되는 진부한 얘기이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