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네는 최초로 사람을 영장류로 분류한 인물이다. 그는 1758년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원숭이 바로 옆에 인간을 놓았다. 그러고 나서 사람에게 '호모 사피엔스'라는 공식명칭을 부여한다. 호모 사피엔스는 '지혜로운 사람'을 뜻한다. 사람을 동물계의 다른 동물들과 비교해서 정신적, 행동적 특색에 기반을 둔 것이다.
일찌기 공자는 생이지지(生而知之)와 학이지지(學而知之)를 구별했다. 전자는 배우지 않고도 아는 것이고, 후자는 배워서 아는 것이다. 그런데 공자는 전자가 후자보다 더 높은 단계라고 말했다. 내가 생각하는 초등교육은 배워서 알게 한 다음 스스로 배우게 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지혜로운 사람'기르기다. 기초 기본 학습에 충실하고 정직하고 예의 바른 태도로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를 강조하곤 한다.
학이지지로 생이지지할 수 있는 지혜로운 인간을 추구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사람, 스스로 물고기를 잡으며 살아갈 수 있는 사람으로 기르고 싶어한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 교육의 모습은 배움(學은 넘쳐나지만 스스로 살아갈 힘(生)은 나약한 젊은이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머리는 크고 몸통은 작은 이티처럼 손과 발을 쓰기 싫어하고 잔머리를 잘 굴리는 아이들이 많은 것도 현실이다. 이는 곧 정신 노동이 육체 노동보다 더 값지고 대접받는 현상까지 불러와서 일자리는 있어도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해외 인력으로 충당하는 현상까지 가져 온 게 사실이다.
미셸 세르는<인간이란 무엇인가>에서 '인간은 체험시간을 조작할 수 있는 힘을 지닌 존재다. 엄청나게 긴 시간을 자신에게 굴복시킬 힘을 가진 존재이며 인간은 그 자신이 원인이다!'로 결론 짓는다.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존재로서, 인간의 무한한 가능성은 인간 그 자신이 모든 원인의 제공자라는 뜻이니, 책임도 인간 그 자신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제 나는 200일에 가까운 일년 농사를 마무리하고 내 나무에서 생명의 물줄기를 마시며 호흡하며 새 봄을 향해 한 송이 꽃을 잉태한 우리 반 잎사귀들을 떠나 보낸 겨울나무로 서 있다. 내 나무에 않았던 그 새들이 잘 익은 열매로 건강하게 행복한 시간을 보냈기를 빌면서 혼자서 조용히 2010년의 시무식을 한다.
12명의 제자들이 모두 다 다른 모습으로 잘 자라준 2009년에 감사한다. 그리고 더 넓고 높은 하늘을 향해 날 수 있도록 마지막 열매를 갈무리하여 호모 사피엔스로, 생이지지하는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끝맺음을 잘 해 주고 싶다.
2010년에도 푸르른 꿈을 안고 나의 둥지에 찾아들 종달새 손님들을 맞이할 둥지를 청소하고 좋은 책으로 영혼을 씻으며 교육의 모든 원인이 '나'에게 있음을 다시 한번 다짐해 본다. '나부터 지혜로운 사람이 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