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격적으로 도입된 복수 담임제에 대해 상당한 호평을 하는 교원들이 꽤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인지, 다소 의아스럽긴 해도 복수 담임제에 대한 의견을 무시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또한 그 의견에 대해 비판하고 싶은 마음도 없다. 다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것인지, 아니면 직접 경험해 보니 복수 담임제의 효과가 좋은 것인지에 대해서는 좀더 깊이 알아보고 싶다.
'선생님 오늘 아침조회 선생님이 들어 오시나요?' '아니 다른 담임선생님이 들어가실 것이다. 선생님은 이따가 종례 시간에 들어갈 테니 그때 보자', '그럼 선생님이 이제는 부담임인가요?' 복수담임을 맡고 있는 어느 교사와 그 학급의 학생들의 실제 대화내용이다. 학생들의 생각에는 복수담임제가 도입되니, 둘 중 한 교사를 부담임 정도로 생각하고 있는 모양이다.
아침조회시간, '어제 가져오라고 한 가정통신문 회신서는 가져왔겠지?' '언제 그랬는데요', '어제 아침에 조회때 선생님이 이야기 했었는데, 무슨 이야기냐?' 조회를 한 담임과 종례를 한 담임이 서로 다르다 보니,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아침에 확실히 전달했는데, 종례 시간에 다른 복수담임은 재차 전달을 하지 않은 모양이다. 아이들은 아침에 전달받은 내용과 종례시간에 전달 받은 내용을 기억하는 정도가 상당히 다르다. 사정이 이러니, 학급이 제대로 돌아갈 리 없다.
교사들이 흔히 하는 이야기중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학기초에 분위기를 어떻게 이끄느냐에 따라 1년 농사가 결정이 된다.' 학기초에 학급 분위기를 잘 조성하면 1년동안 학급 분위기가 잘 흘러가고, 그렇지 않으면 1년동안 모든 교사들이 해당학급 수업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담임을 했거나 하고 있는 교사라면 누구나 공감하는 이야기일 것이다.
지금이 바로 학기초이다. 학기초에 복수담임이 교대로 조회와 종례를 한다면 학급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될지, 아니면 역효과를 가져올 것인지는 역시 교사라면 누구나 쉽게 예측이 가능할 것이다. 두 담임교사의 학생지도 스타일이 다르다면 학생들은 분명히 혼란을 겪을 것이다. 한창 예민한 시기의 학생들이 학기초부터 혼란을 겪는다면 교육을 제대로 하고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없다.
어느 학교는 1학기와 2학기를 분리하여 담임역할을 하기로 했다고 한다. 가령 A교사가 1학기 담임을 맡고, B교사는 2학기 담임을 맡기로 한 것이다. 물론 담임업무를 전혀 안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상담활동 등을 하다가 학기가 바뀌면 원래의 담임 역할을 하기로 한 것이다. 드디어 학기제 담임이 등장한 것이다. 그래도 교과부에서 하라고 하니 교사들은 어쩔수 없지만 복수담임을 하고 있는 것이다.
복수담임제의 도입취지는 담임의 업무경감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방안이었다. 중학교 2학년의 생활지도가 가장 어렵기 때문에 담임을 두명 두면 생활지도가 잘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 시작된 것이다. 그런데 이런 취지와 관계없이 복수담임제가 이상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다시 생각해 볼때가 되었다고 본다.
복수담임제 예찬론자나 반대론자나 이제는 좀 더 솔직해 질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득실을 좀더 정확히 따져보자는 이야기이다. 잘 되는 학교들이 있겠지만 실제로 잘 되지 않으면서도 잘 되는 것처럼 포장된 학교는 없는지, 또 그 포장된 내용을 실제인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지는 않은지 모두가 솔직해져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장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면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나마 두 담임이 기존의 담임업무와 학생상담활동을 나누어서 한다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억지로 담임의 업무를 나눠서 하도록 한다면 이 문제는 끝까지 해결되기 어렵다는 생각이다.
일부에서는 이런 이야기도 들린다. '똑같이 담임수당을 받는데, 업무를 나눠서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냐'라는 이야기이다. 특히 관리자들 쪽에서 이런 이야기가 간혹 나오고 있다고 한다. 결국 복수담임제 도입을 효율성 문제를 따지기 이전에 수당문제로 접근하려 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 공감 하는지 복수 담임 교사들에게 묻고 싶다. 담임수당의 문제는 아니라는 생각이다. 학생지도에 실제로 도움이 되고 있는지 먼저 따져 보아야 한다.
복수담임제 도입으로 학교폭력이 대폭 감소하고 있는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겨우 조회, 종례나 나누어서 하고, 1학기씩 담임을 맡는 것이 학교폭력 예방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느냐는 이야기이다. 복수담임 보다는 현재의 학급당 학생수를 절반으로 줄이는 획기적인 방안이 나왔어야 옳다. 학급당 학생수를 절반으로 줄여 복수담임의 효과를 거두자는 이야기이다.
학급담임의 학급경영 방침이나 철학이 통할 수 없는 것이 현재의 복수 담임제이다. 담임을 맡으면 1년동안 어떻게 아이들을 지도하고 어떤 활동을 할 것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두 명의 담임이 서로 철학이 다르고 지도 방침이 다르다면 학급이 어떻게 될까. 쉽게 해답이 떠오르지 않을 것이다. 도리어 담임들이 학생지도에서 어려움이 발생할때 이를 돕고 문제를 해결 해 줄 수 있는 학교내의 도움 조직을 만드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다. 담임을 안 맡았지만 담임들이 학생지도에서 어려움을 겪을때 이를 전문적인 식견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교사들의 조직을 가동하자는 이야기이다.
담임의 수가 많아진다고 학교폭력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자극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근본대책은 아니라고 본다. 복수담임제 도입으로 투입되는 담임수당을 상담전문가 한사람을 더 채용하는데 활용할 의향은 없는지 묻고 싶다. 도리어 이 방안이 더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도입했으니 계속유지해야 한다는 생각보다는 더 좋은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좀더 현명한 판단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