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14 (목)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남해와 다랑논


어릴 적 우리 집 논은 큰 논배미와 더불어 작은 달갱이논이 여러 개였다. 모내기 철이 되면 작은 달갱이는 쟁기도 꽂을 수 없어 손으로 논을 만들었다. 또한, 천수답인 관계로 하지를 넘겨 모내기 한 기억도 여러 번이었다. 산 아래 들녘 논은 만들어진 수로가 있어 일찍 물을 잡아 경운기로 갈고 써레질하니 정말 부럽기도 하였다. 그리고 논두렁은 뱀처럼 구불구불하고 얼마나 긴지 한 술 더 그 높이는 얼마나 높은지 양은주전자에 막걸리 들고 윗논에서 아랫논을 보면 현기증이 날 지경이었다. 하지만 논두렁이 긴 덕분에 콩을 심어 간장을 담고 남을 수확을 하였다.

어렵사리 모내기를 마치고 나면 아버지는 아침저녁으로 발이 닳도록 논물을 보러 다니셨다. 그리고 가을 추수가 끝나 찬바람이 일면 보리를 파종한다. 다른 논은 경운기로 골을 만들어 갈아엎으니 흙덩이를 깰 필요도 없이 보리 갈이를 끝낸다. 우리도 경운기로 논을 갈면 편할 것인데 하는 푸념도 하였다. 그러나 경운기 삯도 삯이지만 지게나 다닐 수 있는 논에 경운기가 온다는 것은 무리였다. 그래서 소로 논을 갈지만, 흙덩이를 깨서 보리 씨앗을 덮는 일은 온 가족의 몫이었다. 그런 날은 손에 물집이 잡혔고 밤새 부모님의 앓는 소리가 안방 문을 비집고 나와 어둠을 가르곤 하였다.

그런데 이런 몇 개의 달갱이 논이 언제부터인가 두 배미로 합배미가 되었다. 중장비를 빌어서 경지정리를 한 것도 아니었다. 천수답인 골짜기 논에 누가 비용을 투자하여 경지정리를 하겠는가? 그것은 오로지 아버지 혼자 겨우내 바지게와 괭이를 이용하여 개울에서 돌을 주워 언덕을 쌓고 작은 자갈을 채워 돋우고 흙으로 메워 만든 것이었다. 그렇게 두 번의 겨울을 지나 아버지의 땀방울로 탄생한 논은 합배미 두 마지기로 아버지의 노고를 그대로 담아 지금에 있다.

남해 하면 유명세를 탄 것이 2005년 국가명승으로 지정된 가천 다랑논이다. 남해는 섬인 만큼 비단 가천마을만이 아니더라도 올망졸망한 다랑논들이 산비탈에 산재해 있다. 이 산비탈의 다랑논은 처음에는 산이나 밭이었다. 그러나 밭에서 나오는 산출만으로 대식구가 먹고살기에는 어려워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고 영양가가 높은 쌀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사람의 힘을 빌려 오랜 세월을 다듬어 논으로 만든 것이다. 송기숙이 지은 녹두장군에 ‘한 달 보름 동안 돌과 흙을 천 번이 넘게 져 날라야 다섯 평짜리 논바닥 하나를 만들 수 있고 벼랑 끝 30평짜리 공중배미는 아버지와 아들 두 사람이 일을 했대도 2년은 실히 걸렸을 법하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만큼 다랑논은 인고의 세월과 피눈물 나는 고통으로 탄생한 것이었다. 다랑논!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등고선 모양의 논둑은 차라리 사람의 목숨줄이라 해야 그 표현이 맞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천마을이 아닌 유명한 다랑논이 있는 곳이 지리산 피아골 당치마을이다. 이 마을의 다랑논을 어떤 이는 공중배미라고 표현한 일도 있다. 합매미를 만들면서 아랫논을 적게 잡아먹기 위해 언덕을 수직에 가까이 쌓아 올려서 지게를 지고 가는 모습이 공중에 떠서 가는 모습과 흡사한데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 그리고 국외로 눈을 돌리면 1995년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필리핀의 코르디에사스 산맥 일대의 계단식 논이 유명하다. 이 계단식 논의 논둑 총 길이가 2만 2천4백 킬로미터라 하니 지구둘레의 반 이상의 길이라고 하면 상상이 될 것이다.

가천 다랑논! 척박한 환경에서 남해사람들만이 끈질긴 인내와 근면 성실성으로 자연을 밀고 당기며 빚어낸 조화의 결정체이다. 또한 내려다보는 곡선과 올려다보는 직선의 중첩 집체예술품인 것이다.

이렇게 애써 만든 다랑논 합매미도 세월의 변화와 농촌인구의 고령화로 점차 본래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아버지 대에서 농사를 짓지요. 누가 농사를 지어요. 노쇠하여 기력이 달리는 아버지를 모시고 그 논 옆을 지나칠 때마다 지난날의 회한이 물밀 듯이 솟아오르는지 퀭한 눈에 물기만 어린다.

세월 앞에서 장사가 웬 말일까? 천수답 다랑논 애써 일군 전답도 돌보지 않으면 잡초와 풀이 지배하여 원래 모습으로 되돌아간다. 작은 논배미들도 물을 담고 농부의 손이 닿아야 논으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묵혀 놓으면 얼마 있지 않아 언덕이 무너지고 원래 자연으로 되돌아간다. 그런 모습은 아흔을 목전에 두고 노쇠해지는 아버지의 모습과 같다.

지금 우리는 편리를 쫓아 삶을 따라 도시생활에 익숙해지고 있지만, 남해사람 하면 그 끈기와 생명력 어떤 어려움이라도 헤쳐 나간다는 다랑논과 달갱이 논을 합매미로 만들었다는 기억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그렇게 되면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어디에 가더라도 성공의 열쇠를 거머쥘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