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 없는 자연 속에서 자유로웠던 농경시대처럼 느림의 삶을 추구하는 슬로시티! 지난 10월 28일, 향수의 고장 옥천으로 슬로시티 여행을 다녀왔다. 청주에서 1시간만 달리면 대청호의 물가에 느림의 미학을 만끽할 수 있는 명소들이 많다.
처음 들른 곳이 옥천군 군북면 추소리이다. 이곳에 우리나라 최고의 하천풍경으로 꼽히는 부소담악이 있다. 부소담악은 부소무니 마을 앞의 병풍바위가 마치 호수에 떠있는 산처럼 보여 붙여진 이름으로 우암 송시열이 소금강이라 예찬했을 만큼 경치가 빼어나다.
마을에 들어서기 전 언덕에서 호수방향을 바라보면 물위에 떠있는 부소담악이 한 폭의 그림처럼 펼쳐진다. 입구에서 문패 모양의 표석과 느티나무가 맞이하는 마을의 풍경이 한가롭다. 오솔길을 닮은 산길을 지나 정자에 오르면 부소담악을 비롯해 마을과 환산(고리산)의 멋진 풍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부소담악은 갈수기와 만수위 때 높이가 달라지는 700여m의 절벽이 물줄기를 따라 병풍처럼 길게 이어진다. 생김새가 산맥에 가까워 높은 산을 산행하듯 암벽을 오르내리는 재미가 쏠쏠하다. 노송과 단풍이 어우러지는 풍경이 아름다워 호수와 앞산을 바라보며 마음 편히 쉬기에 좋다. 물안개가 피어오르는 날은 구름 위로 떠오른 고준영봉처럼 선경을 연출해 사진작가들이 즐겨 찾는다. 환산에 올라 내려다보는 부소담악의 풍경도 멋지다.
추소리에서 가까운 군북면 이백리의 물가에 이지당(충북유형문화재 제42호)이 있다. 이지당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청주읍성을 수복하고 금산전투에서 700의병과 함께 장렬히 순국한 중봉 조헌이 제자들을 가르쳤고, 후에 우암 송시열이 이 고장의 영재들을 교육하여 인재를 많이 배출한 서당이다.
처음에는 각신서당이었는데 우암 송시열이 ‘산이 높으면 우러러 보지 않을 수 없고, 큰 행실은 그칠 수 없다’는 ‘고산앙지 경행행지(高山仰止 景行行止)’의 끝 글자 ‘지(止)’자를 따서 이지당(二止堂)이라 이름을 고치고 현판을 써서 걸었단다.
지금의 건물은 1901년에 다시 건축한 팔작지붕 집으로 본채와 누각이 있고 높은 단 위에 누마루를 두고 주변에 난간을 둘렀다. 대청에 조헌이 직접 쓴 ‘각신서당’의 현판을 비롯하여 ‘이지당기’, ‘이지당강학조약’ 등이 남아있다.
이지당에서 승용차로 30여분 거리의 안남면 연주리에 독락정(충북문화재자료 제23호)이 있다. 독락정은 절충장군중추부사를 지낸 주몽득이 1607년에 세운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처음에는 정자로 지었지만 후에 유생들이 학문을 닦고 연구하는 서원 구실을 하였다.
1668년 당시 군수였던 심후의 ‘독락정’ 편액이 정자에 걸려 있고, 뒤쪽의 둔주봉은 바위산이 병풍처럼 솟아 있으며, 앞쪽의 물줄기와 산줄기가 용이 춤을 추며 승천하는 형상이라 선비들이 즐겨 찾던 곳이다. 독락정 앞 냇가에서 물길 건너편을 유심히 살펴본 후 둔주봉으로 향한다.
독락정 뒤편의 둔주봉은 강원도 영월의 선암마을에서 바라보는 한반도 지형과 동서가 바뀐 지형이 조망되는 곳으로 유명하다. 경상도와 강원도가 왼쪽, 전라도와 충청도가 오른쪽에 위치한 반전에서 스릴이 느껴진다.
초입인 안남초등학교 정문에서 거리가 가깝고 산세가 완만해 산책하듯 가볍게 오를 수 있다. 솔향기가 물씬 풍겨 운치가 있는 소나무 숲길을 걸어 팔각정자로 간다. 이곳이 동서가 바뀐 한반도 지형이 한눈에 들어오는 사진촬영 장소다.
아래를 바라보면 U자를 만들며 휘돌아나가는 금강의 물길이 한반도 지도를 만든다.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건축된 정자는 물굽이와 한반도 지형이 만든 멋진 풍경을 감상하며 휴식하기에 좋은 쉼터다. 정자에서 가파른 산길을 500여m쯤 더 오르면 둔주봉(해발 384m) 정상이다. 이곳은 S자를 그리며 흘러가는 주변의 물줄기와 산봉우리들이 다 내려다보일 만큼 조망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