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에서 내놓은 2013학년도부터 학교장경영능력평가, 학교성과상여금평가, 학교평가 등 3가지의 학교 관련 평가를 학교평가 하나로 통합하는 학교평가 기본계획을 일단은 환영한다. 그동안 비슷한 평가로 인해 일선학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견을 반영했기 때문이다. 올해의 학교평가는 3가지의 평가가 통합되어 하나의 평가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학교평가 통합에 이어 교원평가도 통합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러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통합에 따른 평가지표의 문제이다. 이전에도 학교관련 평가는 어떤 자료를 어떻게 준비해서 어떤 평가를 받느냐는 문제보다는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평가가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즉 같은 기준이라도 평가단이 어떤 진단을 내리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평가단을 공모해서 선정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평가를 받다보면 평가단의 자질이 의심스러운 경우들이 있었다. 어떤 기준으로 선발했는가에 대한 의구심이 많았다.
이는 평가결과가 만족하고 안하고의 문제가 아니었다. 평가에 대해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교원들이라면 항상 느꼈던 문제였다.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 평가단의 경우는 학교를 정확히 모르는 대학교수, 퇴임교장, 학부모들이 참석하여 평가를 하는 경우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략 평가단 마다 3-4명의 구성원들이 평가를 하는데, 구성원이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당초에 교육청에서 통보받았던 기준과 관계없이 주관적 평가를 하는 경우들도 있었다. 결국 학교관련 평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통합과 함께 평가단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꼭 나와야 한다.
현재처럼 2-3시간만에 평가를 완료하여 등급을 내는 평가로는 통합을 해도 논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일선학교에서 원하는 것은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평가결과이다. 조금 평가를 잘 받았어도 왠지 찜찜했던 것이 지금까지의 평가이다. 당장에 올해부터 시행되는 평가에서 이런 문제들이 되풀이 되어서는 안된다.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이 나와야 한다. 또한 오전, 오후로 나누어져 있는 현재의 평가 시스템을 학교당 하루 정도의 시간을 두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교원들의 업무처리나 수업 등을 실제로 살피면서 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평가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은 맞는 방향이다. 그러나 방법론적으로 볼때 3년주기로 받던 평가가 1년 단위로 바뀐다면 지난해에 우선적으로 평가를 받은 학교들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3년주기 평가가 지난해 처음 실시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조금 규모가 큰 학교들이 대부분 평가를 받았다. 그런데 올해부터 다시 1년 주기로 바뀌면 지난해 평가를 받았던 학교는 왠지 피해를 보는 느낌이 든다. 따라서 지난해 평가를 받은 학교는 1년정도 유예를 해 주는 것이 형평성 차원에서 옳다는 생각이다.
끝으로 학교평가 뿐 아니라 교원관련 평가도 통합하는 방안이 나왔으면 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공약에도 관련 내용이 있다. 하나로 평가하는 것이 여러가지 측면에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평가의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 평가지표의 객관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모든 평가는 평가지표가 보편 타당해야 올바른 평가를 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를 통합하여 운영함으로써 교원들의 업무부담을 줄여주기로 했다면 후속조치로 평가의 객관성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도 함께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