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하마터면 초등학교(그 당시 명칭은 초등학교) 1학년 입학을 못할 뻔 했다. 호적에 나이가 세 살 줄었기 때문이다. 동네에서 같이 놀던 친구들은 모두 입학을 하는데 나 혼자서 외로이 동네를 지켜야 할 처지가 되었다. 이를 미리 간파한 어머니의 지혜(?)로 입학하였다. 당시 어머니는 학교 선생님과 친분이 있어 청강생으로 입학을 한 것이다.
1학년 어린이 모습. 왼쪽 가슴에 모두 흰 손수건을 달았다. 왜? 코 흘리는 아이들이 많았다. 그러면 선생님이나 부모님들이 그 수건으로 코를 닦아주는 것이었다. 우리반 친구 중 유달리 코를 많이 얘가 있었는데 윗입술을 넘어 아랫입술까지 흘러내린 모습이 기억난다. 그 애는 입학해서도 엄마젖을 먹었다. 쉬는 시간이나 수업이 모두 끝나면 그 애 엄마가 기다렸다가 젖을 물리는 것이다.
유년기 일생일대의 사건 하나. 낭떠러지에서 뛰어내리다가 다리 하나가 부러졌던 일. 아마도 토요일인 것 같다. 세류초교 후문 밖에 다리가 하나 있고 쓰레기장이 있었다. 아마도 철부지 또래들이 용감성을 시험하고 있었나 보다.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기. 다른 아이들은 무슨 일이 일어날까 보아 멈칫하고 있었는데 내가 뛰어내린 것이다. 어떻게 되었을까? 일어나지 못하고 울음을 터뜨린 것이다.
그 광경을 퇴근하던 교감(?)선생님이 보았다. 상황을 직감하고 나를 업어 교무실로 갔다. 젊은 선생님을 불러 우리집까지 업어 날랐다. 우리집은 바로 정문앞이었다. 우리집에선 난리가 났다. 귀여운 막내 아들이 다리 하나를 못 쓰는 것이다. 12살 위인 작은형이 엄마와 함께 수원역전 병원(아마도 이름이 ‘이접골’)으로 가서 기브스를 하였다. 학교를 두 세 달 결석하였다. 거의 완쾌할 무렵엔 어머니가 업어 날랐다. 다른 애들은 공부하는데 집에서 쉬어서는 아니되기 때문이었다.
2학년. 농촌진흥청에 다니시던 아버지가 돌아가셨다.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가장 걱정이 컸던 사람은 어머니였다. 남겨진 자식 6남매와 어떻게 살아갈 지가 가장 막막했던 것. 철부지였던 나는 장례기간에도 출석하였다. 공부시간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것이 어떤 것인지도 몰라 짝궁과 장난을 치다가 교실 앞에 나가 손들고 벌을 서기도 하였다. 복도에서 들리는 우리동네 아이들의 말, “영관아, 너희 아버지 죽었어!”
겨울철 놀이로 연날리기를 즐겼다. 연을 만들기 위해 여름철 일회용 비닐 우산살을 잘 보관하였다. 방패연과 가오리연을 만들었다. 학교 운동장에서 날리기도 하였지만 학교 앞산에선 바람이 잘 불어 연이 잘 날랐다. 어머니 몰래 이불 꿰매는 실을 이용하였다. 몇 날 며칠 날리던 연날리기가 싫증이 나면 연줄을 끊어 연을 멀리 날아가게 하기도 하였다.
새총을 만들어 새를 잡기도 하였다. 앞마당에 있는 라일락 나무 줄기 중 균형이 잡힌 Y자 모양의 가지를 잘라낸다. 그리고 아기 기저기용 노란색 고무줄, 그리고 가죽조각이 재료다. 어느 날 저녁, 학교 버드나무 꼭대기에 앉아 있는 새를 노렸다. 살짝 빗나갔으나 새가 땅에 떨어졌다. 아마도 잠시 정신을 잃은 모양이다. 손으로 잡아 집에 가져왔으나 새장이 없다. 커다란 소쿠리로 덮어놓았다. 이튿날 평상위에 새 깃털이 날리고 새는 죽어 있었다. 밤새 쥐들의 공격을 받은 것이다.
잠자리잡기도 우리들 놀이. 모기장용 잠자리채가 아니라 거미줄 잠자리채다. 굵은 철사와 긴 막대를 이용해 도구를 만든다. 거미줄을 걷으러 다닌다. 우리집과 동네를 돌아다니면 거미줄을 겹겹이 거두어 끈끈함의 강도가 있는 잠자리채가 된다. 그러면 학교 앞산으로 가 날아다니는 잠자리를 공중에서 낚아채는 것이다. 어느 날인가 소나무에 앉아 있는 여왕잠자리를 잡기도 하였다. 보통 잠자리보다 훨씬 크고 초록색 눈과 꼬리를 지닌 여왕잠자리다.
공부보다 노는 것이 좋았다. 일요일에는 아침밥 먹고 운동장에 나가 저녁 때까지 놀았다. 점심 거르기가 일쑤다. 주로 축구였다. 편을 비슷하게 갈라 경기를 하면 승리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때론 반칙을 하여 말다툼이 일어나기도 한다. 지금도 기억나는 멋진 장면 하나. 내가 코너킥을 했는데 우리편이 그대로 받아 슛을 성공시킨 것. 일명 발리슛.
학교운동장엔 제비가 그렇게 많았다. 우리집에도 해마다 제비가 집을 지어 새끼를 치곤하였다. 부지런한 어미제비는 운동장을 휘젓고 다닌다. 나방, 잠자리, 파리 등 날아다니는 곤충을 입으로 낚아채 새끼들을 키운다.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면 서쪽 별관 지붕에서 먹이 패스를 한다. 어미가 물고 온 먹이를 새끼가 날아올라 공중에서 먹이 인수인계를 하는 것이다. 이런 광경은 흔히 보는 장면이었다.
일요일 당직 선생님들이 중화요리집에서 주문해 먹는 자장면. 어렸을 때는 그것이 그렇게 먹고 싶었다. 자장면은 부잣집 아이들이 먹는 외식 별미였다. 반찬으로 나오는 단무지와 양파는 남김없이 싹싹 먹었다. 나보다 두 살 정도 더 먹은 어떤 형은 중화요리 배달원보고 ‘짱깨’라고 놀리고 도망가기도 하였다. 나는 ‘짱깨’가 무슨 뜻인지도 몰랐으나 상대가 듣기 싫어하는 나쁜 말이라는 것 정도로 알아들었다.
세류초교 화단에는 자줏빛 다알리아가 있었다. 바로 우리집에서 분양한 것이다. 농촌진흥청에 다녔던 아버지의 영향이었는지 모르지만 꽃 가꾸기를 좋아하는 엄마. 우리집에는 채송화, 칸나, 다알리아가 해마다 피었다.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대추나무, 황매화, 라일락, 감나무가 있고 수돗가 포도나무 덩굴에 매달린 포도는 침을 꼴깍 삼키게 하였다. 뒤란에는 앵두나무가 있어 그 새콤한 앵두룰 해마다 맛볼 수 있었다.
아이들 놀이로 자치기가 있었다. 학교 건물앞 양지바른 땅에서 어미자와 새끼자 막대를 가지고 난이도에 따라 단계를 점차 올려 하는 공격과 수비게임이다. 처음엔 새끼자 멀리 보내기. 그러면 상대편이 그것을 공중에서 잡거나 어미자를 던져 맞추면 공격과 수비가 바뀐다. 공격은 점점 묘기 수준으로 단계가 높아지고 수비는 새끼자 잡기에 위험이 따르게 된다.
구슬따먹기가 있다. 동네 골목길 빈 공간에서 몇 명이 시합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세 명이 구슬을 각자 두 개씩 내면 여섯 개다. 그것을 땅바닥 일정한 선 밖에 던져 상대가 지적하는 구슬을 던져 맞추는 것이다. 다른 구슬이 움직이면 실격이다. 가장 맞추기 어려운 구슬을 지적한다. 성공하면 던져진 구슬을 모두 갖는 게임이다. 아이들 구슬까기 정확도가 얼마나 높은지 두 개의 구슬이 거의 맞닿아 있는데도 한 구슬만 딱 맞힌다. 혀를 내두를 수밖에.
이게 50년 전 유년시절의 추억의 단편이다. 그 당시 너나 모두 살기가 어려웠지만 행복하게 살았다. 쌀밥은커녕 보리밥이라도 실컷 먹는 것이 소원이었다. 바로 아래 여동생은 뜨드개국(일명 수제비)이 질렸는지 부엌에서 끓는 물에 밀가루 조각을 넣는 엄마를 향해 “엄마, 나 저것 안 먹을 래” 하였다. 형 옷 물려 입는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양말이나 옷을 기워서 입는 것이 창피한 것이 아니었다. 거지들도 있었다. 그들이 식사시간에 오면 거부할 수가 없어 저녁식사 전에 대문을 잠그는 것이 일상이었다.
추억은 아름답다고 했는가? 음악시간이면 본관 교무실 풍금을 운동장 가로질러 높은 스탠드 수 십 계단을 지나 남쪽 별관 6학년 교실까지 낑낑대며 나르던 친구들의 행복한 미소가 그리워진다. 잘못을 저질렀을 때 무섭게 체벌을 했던 6학년 담임선생님도 보고 싶다. 4학년 때 짝궁이던, 내 연필을 허락도 없이 가져가 지우개를 쓰던, 집에 자가용이 있던 그 여자애는 지금 어떤 모습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