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는 성취평가제 도입 2년이 거의 지나가고 있다. 한 줄로 세우는 평가에서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모두 좋은 성적을 받아들도록 하겠다는 것이 성취평가제의 취지다. '수-우-미-양-가' 에서 'A-B-C-D-E'로 성취도 표기방법이 달라졌지만 예나 지금이나 출제는 교사들이 한다. 그러나 성취평가제 도입 2년이 거의 지나가고 있지만 솔직히 교사들은 성취평가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다소 혼란스럽다는 표현이 맞을 것이다.
성취평가제에 도입에 따른 각 학교의 성취도를 분석한 언론이 있었다. A등급과 E등급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지적했다. 지역별, 학교별로 비교도 해 놓았었다. 사실 따지고 보면 ,A등급이 지나치게 많다는 것은 시험문제를 쉽게 출제했거나, 학생들의 학력이 높거나 둘 중의 하나이다. A등급이 높게 나오면 성적 부풀리기 의혹에 사로잡힌다. 학생들이 공부를 잘해서 시험을 잘 봤는데 의혹의 눈길을 보내는 것이다.
그러나 A등급이 높다고 무조건 의혹을 제기해서는 곤란하다. 물론 1학기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혹은 1학기말 성적과 2학기말 성적 결과에서 갑자기 A등급이 높아졌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겠지만, 해당학년 처음부터 끝까지 A등급이 높다면 학생들이 공부를 잘했기 때문이라고 보아도 된다. 최소한 중학교에서만큼은 인위적인 성적 부풀리기를 할 것이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고등학교에서는 예전에 절대평가를 실시했더니 시험을 너무 쉽게 출제하여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지만 중학교는 사정이 다르다.
여기서 생각해 볼 문제가 있다. A등급이 지나치게 높게 나온 교과가 있다고 하자. A등급이 높은 만큼 상대적으로 E등급도 높아질 수 있다. 시험문제를 쉽게 출제 한다고 해도, 그 격차가 줄어들기 쉽지 않다. 어떤 학교라도 공부를 거의 하지 않고 시험을 보는 학생들이 일정비율 있다.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기초학력미달' 학생이 0%인 학교가 없듯이 학교마다 몇%는 공부를 안하는 학생들이 있게 마련이다. 이 학생들은 시험문제의 난이도와 관계없이 성적이 좋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A등급이 높다면 다소 쉽게 출제되었을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교사가 어이없이 쉽게 출제 했다고 단정지어서는 곤란하다는 이야기이다. 그것이 1년간 똑같은 비율이라면 그 학교의 학생들을 칭찬하고 교사들을 격려해야 옳다. 교사라고 해도 1년 동안 매번 똑같은 난이도로 시험문제를 출제하긴 어렵다. 그럼에도 매 시험마다 비슷한 비율의 A등급이 나왔다면 인정해 주어야 한다.
성취평가제 도입 이후로 시험문제 출제가 상당히 어려워졌다. 혹시 A등급이나 E등급이 지나치게 높게 나오지는 않을까라는 우려를 하기 때문이다. 만약 E등급이 50%를 넘기면 컨설팅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교사가 잘못 가르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난이도 조절 실패도 가르치는 부분의 하나라고 본다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긴 해도, 교사들의 입장에서는 억울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쩌면 성취평가제의 큰 문제점 중의 하나라고 볼 수도 있다.
학생을 평가하는 것은 분명 교사들의 몫인데, 비율이 낮거나 높다고 컨설팅까지 실시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평가권이 교사에게 있는데, 교사들에게는 실질적인 평가권이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성취평가제 뿐만 아니라 서술형, 논술형 배점, 수행평가 배점 등을 일일이 통제를 하는 상황에서 교사들의 평가권은 과연 무엇인가라는 생각이 든다. 문항의 출제에서부터 채점까지 교사들에게 평가권을 돌려 주어야 한다는 이야기이다.
성취평가제 도입으로 중 상위권 학생들은 성적에 관심이 높아졌다. 상대와 경쟁할 필요없이 자신과의 경쟁만 이겨내면 되기 때문이다. 열심히 하면 좋은 성적을 받아 낼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이런 분위기야 말로 학교에서 꼭 있어야 할 분위기이다. '나도 하면 된다'는 희망을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서술형이나 논술형평가, 수행평가비율등은 일률적으로 정할 것이 아니라 교사의 몫으로 넘겨주는 것이 옳다. 다양한 평가를 위해서라도 교사들에게 평가권을 돌려 주어야 한다. 그렇게 할때 성취평가제 역시 조속히 교육현장에 뿌리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