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일렁이는 시월의 저녁놀이 홍욱처럼 붉게 물들어간다. 사람이 죽어 정한을 남기면 붉은 놀빛이 된다고 하였는데 타다 남은 붉은빛이 가을빛으로 묻어난다. 가을이 되면 유난히 눈에 띄는 것이 잎 속에 묻혀 애기 볼처럼 물드는 감들이다. 우리나라 시골집엔 대게 감나무가 한 그루씩 있게 마련인데 보통 반가에서는 뜰의 서쪽에 심어 계절의 흐름을 보며 한 해를 반추하는 사색의 나루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빈집의 감나무는 또 다른 의미를 불러일으키게 한다.
사람의 기운을 느끼지 못하면 감나무도 늙는 것일까? 몇 년전 까지만 하여도 골목 옆 슬레이트집에 할머니 한 분이 계셨다. 그 집의 마당엔 대추, 무화과, 감나무가 있었다. 그런데 작년부터 대문은 굳게 닫혀 있고 마당엔 커다란 생선 비늘 같은 낙엽만 수북이 쌓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올가을에는 마당을 벗어난 가지에 매달린 감이 주인의 발소리가 그리운지 붉어 가다 물러서 떨어지기만 한다. 더구나 태풍 봉풍으로 헝클어져 구르는 잎들은 햇볕에 바래져 작은 회오리바람이 골목을 내달릴 때마다 갈무리된 가오리 짝 부딪히는 울림을 남기며 쪼글쪼글한 얼굴로 불안한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 모습은 흡사 이른 아침 병․의원 앞에서 문 열기를 기다리는 어르신들과 같아 서글프기도 하다.
지난 팔월이었다. 그동안 불편한 무릎을 끌고 다니다 어쩔 수 없이 인근 병원에 입원하였다. 같은 층 팔인 병실은 거의 모두 고령의 어르신들이었다. 우리는 늙어서 일에 골뱅이 들어 그렇지만 젊은 사람이 어찌 수술을 해하며 혀를 찼다. 모두가 늙은 몸으로 힘에 부친 농사일을 하다 다치거나 관절이 좋지 않은 분들이셨다. 주름지고 햇볕에 그을린 검버섯이 돋은 얼굴은 흡사 오그라들어 가는 감나무 잎과 같은 모습이었다.
“아야야 좀 살살해라 내 죽겄다.” 물리치료실에 가면 고통을 호소하는 소리가 가득하다. “와따 세상 좋아졌네! 옛날 같으면 고래장 감인디 이렇게 치료도 받고, 쎄이 해 주라. 버스 시간 다 돼 간다.” 연신 치료를 받으면서 일하러 가야 한다고 재촉하는 어르신도 있다. 한편으론 사투리에 웃음이 나오기도 하지만 치료기간 동안 자식 된 이로서 꼭 죄인이 된 생각이 든다. 바로 눕지도 못하고 오그린 채 치료를 받고 계신 어르신들을 보며 공장이나 회사에서 일하는 분들이 상해를 입으면 산업재해보험 대상자가 되는데 저 어르신들에게는 농업재해보상 보험은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평생 땅 파고 허리 한 번 제대로 못 펴고 오로지 자식들을 위해 단물을 날라 온 어르신들이다. 그러다 결국 돌아온 것은 병든 몸 하나뿐이 아닌가?
주말이 되면 자식들이 병문안을 온다. 하지만 자식들은 염려보다는 하지 말라고 했는데 말도 안 듣고 일을 하여 결국 병원 신세 지게 되고 바쁜 사람 힘들게 한다고 지청구를 한다. 이에 어르신들은 괜찮다는 말만 하며 눈만 끔벅거린다. 꼭 껍데기만 남은 공룡의 모습 같다. 평생 흙에 묻혀 자식들 건사하신 어르신들이 흙을 떠나 어떻게 살 수 있을까? 문득 박범신의 소설 ‘소금’에 나오는 늙은 아비가 어느 정도 효도를 받으려면 그 아비는 값비싼 후박 단추를 마고자에 달고 있어야 한다, 소비와 편안함에 길들은 자식들이 늙어가는 아버지들의 돌아누운 굽은 등을 한 번이라도 웅숭깊게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라는 말이 뼛속에 스며든다.
지금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2013년 OECD 회원국 중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이 12.2%로 30위이지만 그 증가속도는 다른 나라에 비하여 4배나 빨라 1위를 달리고 있다. 그리고 이번 추석에도 65세 이상 노인 5명 중 1인은 독거생활로 인해 추석 한가위에도 가족과 함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을 보며 남해군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율도 28.5%를 지나고 있다고 하니 이는 사회적 국가적 위기상황에 내물렸다고 해야 옳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생로병사의 고통은 피할 수 없다. 바래져 발밑에 밟혀 바스러지는 감나무 잎을 본다. 지난봄 연둣빛 새순을 피워 올려 봄 햇살에 윤기를 자랑하는 잎들이었지만 시간과 자연의 순환이란 이치 속에 제 몸을 맞기고 침묵으로 일관된 모습이 어르신들의 모습이며 우리네 삶의 모습이 아닌가 한다. 사는 것은 눈물이 오가는 길이며 언제나 젊음을 그리워하게 마련이다. 아버지 오시는 길 햇빛 같은 길, 아버지 가시는 길 눈물 같은 길이라고 했다. 어르신들의 삶은 그리움을 눈물로 씻어 하얗게 될 때까지 눈물을 그리움으로 씻어 푸르게 될 때까지 저문 강 나직나직 흘러가는 그런 일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