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10.7℃
  • 박무서울 7.5℃
  • 박무대전 6.7℃
  • 맑음대구 7.2℃
  • 연무울산 10.0℃
  • 박무광주 8.3℃
  • 맑음부산 12.0℃
  • 맑음고창 5.9℃
  • 구름조금제주 12.9℃
  • 구름조금강화 6.6℃
  • 구름많음보은 5.7℃
  • 맑음금산 5.5℃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기부문화와 수저계급론

강한 엘리뇨의 영향으로 겨울의 초입에 들어선 십일월의 날씨가 고르지 못하다. 중부지방은 가뭄으로 동해안과 남해안은 잦은 비로 김장배추와 건조중인 곶감이 썩고 시금치는 습해에 웃자라 상품성이 없어 베어버리는 모습을 보면서 산다는 것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 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제 아침출근 시간 70대 노부부가 75억 상당의 재산을 기부했다는 뉴스가 가슴을 훈훈하게 했다. 그러나 오늘 아침시간의 뉴스는 가슴을 답답하게 한다. 김낙년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가 1970~2013년 ‘한국에서의 부와 상속’을 조사한 결과와 더불어 금은동․흙수저의 ‘수저 계급론’ 때문이다.

75억! 일 년에 일 억씩 75년을 쓸 수 있는 돈으로 용도에 따라 호의호식 할 수 있고 자식에게 물려주면 평생을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금수저이다. 하지만 이 부부는 부부의 인연을 맺을 당시부터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자고 약속했다고 한다. 자식에게 유산을 물려주는 것도 좋지만 이 나라를 위해 작은 일이라도 할 수 있는 게 있다면 그 보다 더 값진 일은 없을 것이라고 한 약속을 실행한 것이었다.

이씨 부부가 재산을 모으기까지 아끼는 것이 최고라 생각하며 소박하며 검소한 삶을 살았다고 한다. 어느 겨울날 자전거를 타고 눈길을 뚫고 집에 돌아오는 길에 따끈한 순댓국 한 그릇을 먹고 싶었지만 그 돈이면 온 가족, 열 식구가 돼지고기를 배불리 먹을 수 있을 텐데 생각하며 발길을 돌렸다고 한다. 지금도 5천 원 이상의 밥은 절대 사먹지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사연의 말미에 감동을 더한 것은 운동화 선물이었다. 기증단체에서 서류절차를 위해 노부부를 방문했을 때 현관에 놓인 여덟 번 기워 신은 떨어진 운동화를 보고 운동화 두 켤레를 선물 했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절약하여 평생 모은 재산을 자식 입에 금수저로 물리지 않고 사회에 환원하는 모습을 보니 존경스럽다.

한편 이와는 조금 다른 요즘 우리사회 젊은 세대의 심리와 사회구조를 대변하는 말이 ‘수저 계급론’이 화제이다. 이 말은 ‘은수저를 입에 물고 태어난다’는 영어표현에서 유래 확대 해석되어 부모의 재력이 좋아 스스로 노력하지 않아도 잘 살 수 있는 사람을 금수저, 가난한 부모 밑에 태어난 사람을 흙수저, 플라스틱 수저에 비유하는 뜻이다.

지금 우리사회는 부의 쏠림현상과 인구의 고령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수성가’,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은 전설이 된지 오래다.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고도 성장기에서는 아끼고 절약하고 열심히 노력하면 부를 축적할 수 있고 신분상승도 가능한 사회였다. 하지만 이제는 상속과 증여가 자산형성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김낙연 교수의 연구결과도 이 현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부모의 상속재산이 전체 자산의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1980년대는 연평균 27.0%, 2000년대에는 42.0%로 급증했다는 것이다. 즉 한 해 자산이 100만원 증가했다면 1970년대에는 73만원을 스스로 저축하고 불렸지만 2000년대에는 58만원만 저축하고 나머지 42만원은 부모에게 물려받았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 경제가 저성장구조에 직면하면서 자수성가할 기회는 줄어들고 금수저를 물고 태어나는 대물림 현상이 보편화 된다는 말로 젊은 세대는 아무리 ‘노오력(노력을 비꼬는 말)해도 안 된다’는 수저 계급론을 말하고 있다. 이렇게 젊은 세대는 사회에 대한 원망과 불신의 눈으로 보고 있지만 기성세대는 사회현상 기저 보다는 젊은 세대가 나약하고 노력은 안 하면서 눈만 높다고 쓴 소리를 하고 있다.

지금 우리사회 부의 66.6%를 상위 10%가 차지하고 있다. 경제협력기구는 2013년 보고에서 한국은 부유층 상위 10%의 평균 소득이 하위 10.1배로 OECD평균 9.6배 보다 높다고 했다. 물론 자본주의 경제구조에서 부의 축적을 나무랄 일은 아니지만 부모가 최고의 자산이라는 세습 자본주의와 부의 불평등이 팽배해져 가고 있음을 단적으로 나타내는 증거이다.

그런데 이런 부의 편중과 대물림 현상은 젊은 세대에게 편견과 좌절을 잘 살아보겠다는 희망과 의욕의 불씨를 뭉개버리는 요소가 되고 있다. 2014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앵커스 디턴은 ‘불평등은 사람들에게 동기부여를 하는 좋은 면도 있지만 지나치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나쁜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 하였다. 즉 노력한 결과의 불평등은 발전의 힘이 될 수 있지만 대물림되는 부는 이 사회에 희망의 불씨를 발붙일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더불어 사는 세상의 모든 경제활동은 인간의 욕구해결을 기본으로 시작된다. 돈 많고 부자 되기를 싫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그 부를 올바르게 사용하면 모두가 공생하는 희망을 줄 수 있다. 조선시대 경주 최부자 이야기나 구한말 자수성가하여 유한양행을 창업하고 모든 재산을 사회에 환원한 유일한 선생의 행적을 보면 알 수 있다.

우리가 사는 사회! 누구나 노력한 만큼 결과를 가져가는 것은 자연스럽고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다이아몬드, 금수저의 대물림으로 인하여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된다는 생각이 젊은 세대에게 퍼지면 희망은 없어지고 미래는 어둡게 된다. 기부문화의 확산과 함께 재력가 사회지도층 정치가들은 젊은 세대, 없는 사람에게 희망의 불씨를 지필 수 있는 ‘다 같이 잘 살아보자’는 부의 균형에 대한 해법의 제시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