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생태연구회 임봉덕 회장을 만나다“소나무재선충병 확산을 막으려고 항공방제를 했는데 그 결과 남한산성 계곡의 옆새우와 가재가 멸종되고 말았네요. 그러면 그 옆새우를 먹이로 하는 새들은 어떻게 될까요? 결국 서식지를 잃고 남한산성을 떠나게 되며 숲에 벌레가 많아져서 숲에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남한산성 지킴이이자 남한산성 새박사로 통하고 있는 임봉덕씨(62)의 말이다. 그의 공식 직함은 비영리단체인 남한산성 생태연구회 회장이다. 2010년 경기도에 등록을 마쳤는데 현재 회원은 151명이다.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아무리 애써도 인간이 저지른 한순간의 실수가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다.
경기도는 소나무 재선충병 확산을 막기 위하여 2014년 4월 하순, 광주시를 비롯한 6개 시군에 3∼6회, 올해는 7개 시군 617ha에 2주 간격으로 3∼5회의 항공방제를 실시했다. 1991년부터 남한산성 인근에 거주하면서 남한산성의 변화 모습을 지켜본 임 회장은 항공방제 장면을 작년에 3회, 올해는 5회를 목격했다.
현재 남한산성에는 참매, 새매,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검독수리, 까막딱다구리,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원앙 등 15종의 천연기념물과 환경부 지정 보호종인 말똥가리. 벌매, 왕새매, 긴꼬리딱새, 비둘기조롱이 등 8종이 서식하고 있다. 곤충류로는 운문산반딧불이, 늦반딧불이, 파파리반딧불이 등이 살고 있다.
남한산성에 살고 있는 조류는 총 150여 종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이곳이 해발 500미터의 분지형으로 해발 700미터에서나 볼 수 있는 고산식물이 자라고 있고 대기환경이 청정지역이라 1급수에서만 자라는 반딧불이나 옆새우, 가재 등이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곳도 도시민들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2014년 6월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을 받기 이전만 해도 연인원 200만명, 차량 50만대가 이곳을 찾았다. 올해 남한산성 탐방객 추정 연 인원은 500만명, 차량 120만대로 예측하고 있다. 숲을 사람이 많이 찾을수록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임회장이 이곳을 찾는 탐방객에게 당부하는 것 한 가지 반드시 정해진 등산로만 이용하라는 것이다. 관리사무소 측에서 단속 및 계도를 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기 때문에 탐방객들의 현명한 보행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기도 정책에도 한 가지 건의를 한다. 숲을 가꾸는데 소나무 위주로 하지 말라는 것. 숲에는 다양한 나무가 있어야 새들이 그 열매를 먹고 생태계가 유지되는데 한 가지 수종만 고집하면 인간과 동식물이 공존할 수 없다고 그는 말한다.
생태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숲의 고사목도 필요한데 고사목을 기계톱으로 일정한 크기로 잘라 쌓아 놓는 것은 오히려 숲을 황폐하게 만드는 것이라 말한다. 자연은 그대로 두어도 천이 현상이 일어나므로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경기도에서 소나무 재선충을 죽이려고 살포한 약재가 남한산성의 1급수를 오염시켜 옆새우를 멸종시키는 우를 범했고 이와 연결된 먹이사슬을 파괴시킨 것이다. 그래서 남한산성의 새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우선 숲을 보존해야 한다. 그러려면 관과 민의 협력이 필요하다.
첫눈이 내린 오늘 남한산성에도 본격적으로 겨울에 접어들었다. 이제 탐방객들은 눈위에서 떼지어 노니는 들꿩의 모습과 멋진 비행, 울음소리도 듣게 될 것이다. 개체수가 비교적 많은 들꿩이기 때문이다. 자연보호가 바로 우리 사람보호다. ‘자연사랑이 인간사랑’이다. 자연을 보는 우리 인식의 전환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