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전 한국교육신문 '16세 선거전' 홍보하는 수상한 통계자료집? 이라는 기사를 읽었다. 경기도교육청이 발간한 통계로 보는 교육정책이 16세 선전거, 9시 등교, 혁신학교 당위성 등 이재정표 정책홍보물이라는 기사였다.
이 기사를 읽고 느낀 점은 평생 교육감을 하고 싶은 생각 때문에 이런 자료집을 발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그것도 정말 우리나라 미래의 희망찬 교육정책보다 학생들과 선생님들에게 인기를 얻기 위한, 표를 얻기 위한 정책만 추진하고 시사하고 있으니 한심한 생각이 든다.
그 중의 하나가 16세 선거권을 주기 위한 보고 내용이다. "OECD 국가 중 만 14세 학생들에게 성인이 됐을 때 선거에 참여할 의향이 있는가? 물은 결과 우리 학생 응답율 86.9로 23개국 3위에 올랐다. 이에 대해 '이런 높은 청소년들의 정치 참여 의향은 도교육청이 제안한 16세(고교생) 이상 청소년에게 교육감 선건권을 주자는 것과 관련해 큰 의미가 있다고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그리고 지난해 10월 7일 기자간담회 16세 서거권을 제한하였다고 한다.
교육정책자료집을 발간하는 목적이 무엇인가?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기 위함이 아닌가? 성인이 되었을 때 선거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16세로 선거권을 낮추자고 하는 게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고교생은 아직 배움에 있는 학생이다. 완전한 분별력을 가진 학생들이 아니다. 선거하고 싶다고 선거권 주자는 것은 내가 학생들 좋아하는 정책을 많이 펴서 계속 교육감 하고 싶다는 것으로밖에 들리지 않는다.
더욱 황당한 것은 9시 등교에 대한 보고서다. 경기도 중 3 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수면시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하루 4시간 이상 사용자가 그 이하 사용자보다 새벽 1시 이후에 자는 비율(20.1%) 2배나 높았다. 이에 대한 시사점은 '9시 등교는 수면부족을 해결할 좋은 정책 중의 하나'라고 소개했다고 하니 어이가 없다.
스마트폰 을 밤1시가 되도록 하는 사용하도록 하는 게 교육상 옳은 일인가? 이런 학생들을 위해 9시 등교가 수면부족을 위해 좋은 정책이라고? 이런 시사점을 쓴 관계자는 정신을 똑바로 차려야 할 것 같다.
봄이 지나면 7시만 되어도 해가 일찍 뜬다. 이런 시간에 잠을 자고 있다니 이게 바른 습관인가? 부모님은 직장을 나가면 학생들을 식사도 하지 않고 학교를 가지만 지각생도 자주 속출한다.
야밤에 스마트폰으로 무엇을 하는지도 궁금하다. 이들이 공부에 관한 것들로 활용할까? 아무리 좋은 스마트폰이라도 밤 12시간 되면 잠을 자게 하도록 교육을 시켜야지, 이런 학생들을 위해 등교를 9시에 한다. 이게 옳다. 9시에 등교하면 학생들이 행복하다? 정말 아니다.
정말 학생들의 행복을 위한다면, 차라리 정상적인 수업말고는 학교에 붙들어놓지 말고 자율권을 주라, 방과후니, 특별활동이니 하는 것 억지로 시키지 말고. 또 과제 좀 내지 마라. 스스로 학고 싶은 공부 좀 하게. 중국만 가도 숙제를 일체 내지 않도록 지침을 내린다고 한다.
선생님들에게 민주적일수록 교사의 효능감이 높아졌다. 하면서 혁신학교를 늘려야 한다는데 이것도 말이 안 된다. 요즘 학교마다 민주적으로 운영하지 않는 학교가 어디있나? 인사조직 교장, 교감 마음대로 하는 학교 어디 있나? 선생님들에게 행복감, 효능감을 주려면 잡무를 시키지 마라, 퇴근시간 되면 자율퇴근하도록 만들어주라. 애들을 키우는 이들에게 어떻게 도움을 줄지를 생각해보라.
무슨회, 무슨회, 많이 만들어 선생님들을 더 힘들게 만들지 말고 무엇을 선생님들이 원하는지, 학생들이 원하는지, 앞서가는 교육이 되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