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영재학교들의 영재 선발기준이 지적 영역에만 치우쳐 미국 등 선진국 사례와 국내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적, 창의적 영역 등을 포괄하는 선발기준에 비해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김소아 씨가 국내 17개 영재교육기관의 선발기준과 실태를 분석한 '영재의 선발준거와 진로특성 요인의 탐색'이란 박사학위 논문에 따르면, 영재학교 재학생 중에는 지능과 창의성이 일반 학교 재학생의 평균치보다도 낮은 학생들이 섞여 있는 것으로 드러나 영재 선발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서울시내 2개 영재교육기관 재학생 114명(영재군)과 수도권 5개 중고교 학생 166명(범재군)을 대상으로 지능과 창의성, 자아개념, 진로탐색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 비교·분석한 결과, 김씨는 국내 영재교육기관의 학생선발 준거는 학업성적과 문제해결능력, 학습흥미 등 주로 지적 영역에만 치우쳐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는 예술성과 창의성, 리더십 등 사회·환경적 영역 등 69개 요인으로 영재를 평가해야 한다는 국내외 연구결과와 미국 등의 사례에 비해 크게 미흡한 것이다.
또 고교생 범재군과 영재군의 지능 평균도 각각 136과 140으로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영재군에서 최저 지능(96)을 가진 학생은 범재군의 최저 지능(100) 학생보다 지능이 더 낮았고, 영재군 중에서 범재군의 평균보다 낮은 지능을 가진 학생 수가 20%에 이르는 등 영재와 범재의 구분자체가 모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독창성, 정교성 등을 평가한 창의성 검사에서도 영재군과 범재군 사이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영재군에는 범재군의 평균 이하보다 낮은 점수를 가진 영재들이 일부 끼어있었다. 자아개념 검사에서는 영재군이 범재군보다 대체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중학생 영재의 경우 분포범위가 넓어 범재군보다 자아개념이 정리돼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학교생활과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두 집단간 차이가 꽤 뚜렷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범재군은 교사에 대한 만족도를 '보통'으로 꼽은 반면, 영재군은 '매우 좋음'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또 중학생 시절의 '범재군'은 진로선택에 금전적인 면을 가장 많이 고려한 반면, 적성과 흥미를
가장 많이 선택한 영재군과 큰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