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의 끝자락 구월 중순 유치원생 5명, 초등학교 전교생 45명이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참전용사 할아버지 5분과 같이‘6.25를 바로 알아야 전쟁을 막을 수 있다’는 시간을 같이했다. 이 아이들에게 지금의 풍요와 여유 뒤에 숨은 60여 년 전 있었던 6.25 한국전쟁은 생소하며 먼 나라 이야기로 생각될 뿐이다.
첫 대면! 무엇보다 아이들은 백발에 훈장을 단 연로하신 참전용사 다섯 할아버지에 대한 호기심이었다. 이 분 중 세 분은 6.25 당시 중학교 3학년으로 학도병에 출전해 생존하신 분이다. 빛나는 훈장 뒤의 힘든 걸음걸이가 지나온 삶의 역경을 말해주고 있다.
수업 내내 참전용사 할아버지들은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증명하시듯 흐트러짐이 없으셨다. 강사로 나오신 분은 여러 학교에 다녀보았지만 유치원생부터 초등학교 전교생이 이렇게 6.25에 대해 깊은 몰입을 보이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고 하신다.
지금 아이들은 6.25를 잘 모른다. 수업 일주일 전 도서실 뒤편 6.25 바로 알리기 만화 그림 현수막을 게시해 놓았지만 아이들의 흥미를 끌지 못했다. 그리고 수업중에도 영상기기가 발달하지 못했던 당시 종군기자들의 흑백사진과 동영상도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의 일처럼 관심을 자아내지 못했다. 하지만 참전용사가 같이한 이 자리는 더할 수 없는 증거의 기회가 됐다. 특히 핵으로 위협하고 있는 벼랑에 선 북한 김정은정권 실상 설명에서 아이들은 분노와 두려움을 나타낸다. 또한 핵을 개발하고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죄 없는 북한 동포 300만 명이 굶어 죽었으며, 핵폭탄이 실전에 사용되면 또 300만 명이 죽는다고 하니 끓어오르는 분노는 막을 수 없었다.
수업 중 제일 관심을 끈 것은 두 가지였다. 그 하나는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고 하는 흥남철수 작전 이야기였다. 6.25발발 그해 12월 중공군의 인해전술로 퇴로가 막혀 육로가 아닌 해로를 이용해 철수해야 할 상황에 구름처럼 모여드는 피난민들을 어떻게 수송해야 할지 갈등상황에 놓였다고 한다. 그때 13명이 정원인 화물선 메러디스 빅토리 호는 16시간 동안 1만4000여 명을 태우고 흥남부두를 철수한다. 어쩜 기적이기 보다는 소중한 생명을 살려야 한다는 숭고한 인간애가 엮어낸 드라마였다. 그리고 이틀 후 12월 25일, 2박 3일 동안 거제도로 향하는 극한 항해 속에서 한 명의 희생자도 없이 5명의 새 생명이 태어난 크리스마스의 기적과 같은 일이 일어났다. 이 희망의 시작을 미군들은 태어난 아기에게 김치 1, 김치 2… 그리고 김치5로 지어줬다 한다.
그다음 이야기는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해 전세를 역전시킨 월턴 워커 중장의 말이었다.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고, 더 이상 물러설 곳도 없다. 무슨 일이 있어도 결코 후퇴란 있을 수 없다. 내가 여기서 죽더라도 끝까지 한국을 지키겠다. 여기서 더 후퇴하면 내가 장례식을 치러 주지!"
아무런 인연이 없는 타국의 전쟁에서 목숨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서 지휘관의 말에 한 부하가 반론을 제기하자, 옆에 있던 맥아더 장군은 군대에는 민주주의가 없다는 말로 워커 중장의 지휘명령을 옹호해줬다 한다. 나와는 아무런 상관없는 전쟁에서 피 흘리며 죽어야 하는 일에 동조할 사람이 누가 있을까? 이 이야기를 들으며 작년 팔월의 기억을 떠올려본다.
“조국은 그들이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와 한 번도 만나본 적 없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조국의 부름에 응한 아들딸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이 문구는 워싱턴 D.C. 웨스트 포토맥 공원 링컨 기념관 뒤쪽 미국인들의 한국전쟁 참전의 뜻을 길이 새기고자 조성한 한국 전쟁 참전용사 기념비에 새겨진 문구이다. 이 기념비가 있는 곳엔 승리를 상징하는 V자형 대지 위에 행진하는 19명의 병사 동상이 있다. 19명의 병사는 육군 14명, 해병 3명, 해군특공대 1명, 공군척후병 1명으로 오른쪽 벽에 비치어 38명이 되며 38선을 나타낸다고 한다. 그리고 왼쪽의 화강암 오석 벽면에는 무수한 참전용사들의 모습이 레이저를 이용한 부조로 새겨져 있다. 마지막 기념비와 만나는 V자 끝에는 미국은 한국전쟁에 150만 명이 참전해 5만 4천명이 사망하고 11만 명이 잡히거나 다쳤으며, 8,000명이 실종됐다고 새겨져 있다. 전쟁 당사자인 대한민국 국군의 전사자 58,127명, 부상자 175,743명과 비교해서 거의 엇비슷할 정도로 많은 사상자가 난 안타까운 기록이다. 여기에 UN군 사망까지 포함하면 63만 명이 넘는 고귀한 목숨이 남의 나라 전쟁에서 피를 흘렸다. 이 한국전쟁 참전 기념관에서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한국이라는 나라와 그 나라의 평화와 자유를 지켜 주기 위해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해 주신 미국 참전용사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뭉클해졌다. 그 피와 희생으로 1953년 휴전 직후 1인당 국민총생산 67달러에서 60년이 흐른 지금 3만 달러를 바라볼 정도로 우리나라는 발전하게 됐다.
마지막으로 가슴을 울린 문구는 ‘자유는 거저 얻어지지 않는다(Freedom Is Not Free )’였다.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자유는 결코 공짜가 아니다. 저들과 우리의 선조들의 죽음과 맞바꾼 용기 있는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 번도 들어본 적도 없던 나라와 단 한 번도 만나본 적도 없던 국민을 지키기 위해 부름에 응답해 수없이 죽어갔던 한국전쟁 참전 용사들. 기념비에 새겨진 참전용사와 판초 우의를 입고 수색 중인 짙은 회색의 군인 조각상들의 슬픔과 비장감 넘치는 표정에서 자유는 절대 공짜가 아니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줬다.
자유는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하며 자유를 잃는 순간 우리의 삶 또한 피폐해진다.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자유의 이면에는 그것을 지탱하고 키우기 위한 희생이 자리하고 있음을 지나치면 안 된다.
오늘 수업에 참여한 아이들도 지금의 편안함은 많은 희생의 결과라는 것을 어렴풋이 알게 됐다. 아이들은 빨리 핵이 없는, 전쟁이 없는 세상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그것은 한국전쟁 참전한 모든 용사의 바람이기도 하다.
지금 우리는 또 다른 위기에 처해 있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 서로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그게 살아 있는 자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