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르면 2006학년도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문항수를 줄이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9일 고교교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미나를 열어 수능시험 언어영역의 문항수를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평가원 관계자는 "수능시험 언어영역이 시험시간에 비해 문항 수가 많아 수험생들이 어려움을 겪는다는 지적에 따라 문항 수를 줄이자는 의견이 제시됐다"며 "문항수를 줄이더라도 2006학년도 이후에나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5학년도 수능에서 언어영역은 60문항 출제되며 시험시간은 90분이다.
이 중 듣기 6문항에 15분 가량이 소요되고 나머지 75분간 54문항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듣기를 제외하면 평균 1.38분 이내에 한 문항을 해결해야 하는 셈이다.
또 언어영역 지문이 길고 교과서에 나오지 않는 생소한 내용이 대부분이이서 수험생들은 해마다 "언어영역은 실력 테스트가 아니라 속도 테스트"라는 불만을 표시해왔다.
평가원은 언어영역 문항을 5개 줄여 55문항을 출제하는 대신 문항당 배점을 높여 원점수 총점을 2005학년도 수능과 같이 100점으로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평가원은 2005학년도 수능에서 3점 문항을 5개까지 출제한다는 방침을 정해놓고 있어 3점 문항이 5개 출제되면 1점, 2점 문항은 각각 25개, 30개 안팎이 된다.
따라서 2006학년도 수능에서 언어영역 문항수가 줄어들 경우 2점 및 3점 문항이 2005학년도보다 더 늘어나게 돼 언어영역의 변별력이 크게 높아져 대학 입시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그러나 "언어영역 문항을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2008학년도 수능시험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이전 수능시험 체제에 손을 댈 필요가 있는지부터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