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조선 최고의 천문학자 김영이 죽자 어린 시절 그에게 기하학을 배웠던 홍길주는 이렇게 탄식했다고 합니다. 김영은 천문과 수학의 귀재이면서도 신분이 미천하다 하여 멸시와 천대를 받다 극심한 가난 속에 굶어 죽었습니다. 어찌 김영 뿐이겠습니까. 스스로 '책만 읽는 멍청이(看書痴)'이라 했던 이덕무는 당대 으뜸인 문장과 학문을 지니고도 서얼 출신이라는 신분의 한계 때문에 평생 가난과 병고에 시달렸고, '홍길동전'을 쓴 또 다른 서얼 허균은 그런 세상을 뒤엎을 혁명을 꿈꾸다 처형당했습니다.
'미쳐야 미친다'(푸른역사)는 이처럼 시대와 불화하면서도 온몸으로 세상을 건너며 눈부신 성취를 이룩했던 18세기 조선 지식인들의 내면을 돌아보는 책입니다. 18세기는 조선 문예부흥기였던 반면 엄격한 신분제도와 완고한 주자학적 규범으로 창조적 지성을 짓누르는 시대이기도 했습니다. 신분차별에 절망한 나머지 '영원토록 이 나라 사람이 되지 않겠다(永永世世 不願爲本方人也)'고 한 차좌일 이라는 시인도 있었으니까요.
미쳐야 미친다, 불광불급(不狂不及). '미친(狂)듯이 몰두해야 남이 따라오지 못할 경지에 미친다(及)'는 암호와도 같은 '벽(癖)'의 광기. 바로 이 '벽'이야말로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내면 세계를 읽는 코드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논어'를 빗대 이들 '벽'들을 18세기 실학자이자 소설가인 박지원은 이렇게 평했습니다. "저들이 기예를 가지고도 족히 그 목숨과 바꾸었으니, 아아! 아침에 도(道)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