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3℃
  • 맑음강릉 11.6℃
  • 흐림서울 8.5℃
  • 흐림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조금울산 10.0℃
  • 구름많음광주 11.1℃
  • 구름조금부산 12.2℃
  • 흐림고창 9.7℃
  • 흐림제주 13.0℃
  • 구름조금강화 5.9℃
  • 흐림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0℃
  • 흐림강진군 12.2℃
  • 구름조금경주시 10.9℃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마음! 제대로 전하세요”

@'교사가 입 밖에 내서는 안 되는 말' 10가지


교사라면 누구나 '나도 모르게 그 말이 불쑥 튀어나와서…''그런 말은 하지 말걸.' 하는 생각을 한두 번은 했을 것이다. 물론 교사도 인간이기 때문에 때로는 감정적이 되기도 하고, 섣부른 결론을 내리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교사가 무심코 내뱉은 말, 혹은 잘 되라는 마음으로 건넨 말 가운데는 절대로 입 밖에 내서는 안 될 말도 있다.

일상에서 부딪히는 학생과의 관계에서 '어떤 말’이 아이들에게 실망과 반발을 불러일으키는 것일까. 초중고교 교사 19명이 말하는 바람직한 대화방법을 담은 '교사의 마음을 제대로 전하는 대화의 기술'(양철북)을 통해 의사소통의 원리와 기술을 배워보자. '말'로 인해 학생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일이 없어진다면, '좋은 교육, 좋은 선생'의 길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되지 않을까.

"평소 네 행실이 나쁘니까 그렇게 되는 거야"

이 말은 따돌림의 원인이 아이의 성격이나 행실에 있다는 교사의 판단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집단따돌림의 원인을 당하는 아이에게서 찾는 것은 문제의 본질을 잘못 짚고 있는 것. 교사가 아이로 하여금 '내가 나쁜 거야'라고 느끼게 한다면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럴 땐 "선생님에게 이야기 해주어서 고맙다. 오늘부터 너는 혼자가 아니니까 걱정하지 마. 선생님이랑 같이 생각하면서 하나씩 해결해 보자꾸나."라고 말하는 것이 좋다.

"너 때문에 모든 애들이 불편해하잖아"

교사는 이 말을 통해 아이가 반성하기를 기대하지만 아이는 '왜 나만 나쁜 아이가 되는 거지'라고 반발하게 된다. 약자를 괴롭히는 아이의 속마음을 확인하지 않으면 따돌림 문제는 절대 풀 수 없다. "선생님은 요즘 반 분위기 때문에 정말 힘들다. 예전 같지 않게 마음이 따로 따로야. 선생님이랑 다같이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 보자. 너희들 생각은 어떠니?"라고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좋다.

"너 학교에 뭐 하러 오는 거야"

수업분위기를 산만하게 만드는 아이가 있으면 이렇게 짜증내기 쉽다. 이 말을 들은 아이는 선생님이 우리 마음을 이해해 준다는 기대가 무너지게 된다. 아이들은 누구나 '나도 잘하고 싶어, 더 착해지고 싶어'라는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재미있어 보이는데, 하지만 이건 잘 들어야 하니까
하던 일 잠깐 멈추고 들어주지 않을래?"라며 '신뢰'를 깨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모르는 게 있으면 물으러 와라"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는 아이에게 흔히 하는 말이다. 그러나 아이들은 이런 걸 물으면 웃음거리가 될텐데, 또는 무슨 질문을 해야 좋을지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럴 땐 "잘 돼가니? 어디가 어려운데?"라고 말을 걸거나 "우선은 할 수 있는 것만 해봐. 모르면 선생님한테 신호를 보내."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다.

"또 잊어 먹었어?"

"깜박 잊고 안 가져왔어요"라는 아이의 말에 "또 잊어 먹었어?" 또는 "그래, 또 잊었구나"라고 반응하는 두 가지 유형이 교사가 있다. 같은 '또'를 썼지만 전자는 한심하다는 생각이 은연중에 배어 있는 말이다. 아이는 이 말에서 교사가 자신을 수용하려 하지 않는다는 불신감을 갖게 된다. 후자의 또는 누구나 건망증은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는 배려가 담겨있다.

"네 실력이면 이 정도 문제는 식은 죽 먹기야"

교사가 아이의 실력을 인정하고 더 잘하기를 바라는 격려의 말이다. 그러나 '이 정도의 문제'라고 말한 문제도 아이는 노력해서 겨우 풀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번에도 잘했구나. 항상 노력하고 있다는 표시야. 앞으로 점점 어려워지겠지만 틀림없이 잘 해낼 거야."라며 신중하게 말을
선택해야 한다.

"선생님은 너를 생각해서 하는 말이야"

이 말 다음에 나오는 말은 학생의 현재 상황을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학생은 자신을 부정 당한다고 느끼면 느낄수록 고집을 부리고 싶어진다. 상대의 모든 것을 알고있다는 식으로 경솔한 이런 표현은 입에 담지 말아야한다.

"계속 그러면 부모님 오시라고 한다"

이 말은 아이를 협박하는 효과가 있을 지는 모르지만 교사로서의 책임을 포기하겠다는 말과 같다. "선생님은 너에게 똑같은 주의를 여러 번 주기 싫어. 왜 그렇게 하지 못하는 지 얘기해 줄 수 있겠니? 그리고 함께 생각해보자."라는 식으로 본심을 이야기하는 것이 좋다.

"학교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 때문에 상담을 하러온 부모에게는 설령 아이에게 별다른 징후가 없더라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교사가 미처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말은 아이에 대한 교사의 무지만 알려주는 결과를 낳기 쉽다.

"내신에 반영할거야"

도무지 교사의 생각대로 아이가 움직여주지 않을 때 자신도 모르게 이렇게 말하는 교사가 많다. 학생을 교사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수단으로 "내신 서류에 아무것도 쓸 수가 없어"라고 말하는 것은 권력을 이용한 지도방식으로 반발을 초래하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