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다시, 효를 가르치자

서로 양보하고 배려하여 함께 행복한 설날을

토인비가 부러워한 한국의 아름다운 가족제도

 

1년을 살려거든 곡식을 심고,

10년을 살려거든 나무를 심으며,

백 년을 살려거든 德을 베풀어야 한다.

덕이란 人物을 두고 하는 말이다.  『화식열전』에서

 

▲ 아이들이 직접 쓴 대본으로 역할놀이 중인 영암 덕진초 2학년 제자들, 그리움으로 남은 풍경

 

德이란 곧 인물이니 敎育을 말함이다. 금세기 최고의 지성 토인비에게 어느 기자가 물었다. 만약 지구가 멸망해서 다른 별로 이주할 때 오직 한 가지만 가져가야 한다면 선생님은 도대체 무엇을 가져가겠느냐고. 토인비는 촌각의 망설임도 없이 대답했다. 한국의 가족 제도를 가져가겠노라고.

 

율곡 선생은 선비의 온갖 행위 중에 효제가 근본이라 하였으며 삼천 가지 죄목 중에 가장 큰 죄목이 불효라 하였다. 민족의 명절 '설날'이 지났다. 며느리 사표니, 고부간의 갈등이니, 말들이 많다. 명절을 없애자는 말까지 나오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러다가 가족 간에 최소한의 예조차 거부하는 세상이 도래하는 건 아닌지 걱정이다.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 어디서부터 잘못되었을까? 하기야 교실에서조차 온당한 가르침을 거부하는 학생들이 배움을 방해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세상이니 더 말해 무엇 하랴! 이제 바르게 선도하는 선생님은 꼰대 소리를 듣게 되었다. 알고도 모르는 척 해주는 게 미덕인 세상이 되었으니.

 

필자도 며느리로서 25년 동안 설날과 추석, 어버이날, 집안 제삿날에 수시로 시댁을 드나들이하며 살았다. 물론 몸은 피곤했지만 그것을 당연한 도리라 여겼고, 내 자식을 잘 기르기 위한 본보기였고 행복한 시간들이었다. 이제는 양가부모 다 계시지 않으니 그 쓸쓸함이란! 어버이 살아계실 제 효를 다하라는 옛 어른들 말씀만 곱씹으며 후회가 남는다. 잘한 것은 생각나지 않고 잘못한 일만 생각나는 명절이니.

 

부모에게 받는 건 당연한 것이고 부모를 챙기고 보살피는 것은 거부하며 명절조차 없애자는 말이 심심찮게 들린다. 부모나 자식 사이라도. 타협점이 필요해 보인다. 효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접근 방법을 고민할 때가 된 것 같다. 옛것을 무조건 고집하는 것이나, 힘들고 불편하니 없애자며 양극단으로 치닫지 않으면서 형편에 따라 양보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절실해졌다.

 

가장 일차적인 사회적 관계가 부모 자식의 관계다.  仁義禮智는 필연적인 도리이자 사회적 관계를 위한 기반이다. 가정의 사회적 관계가 허약하면서 직장이나 학교의 사회적 관계가 원만하기를 바라는 것은 우물가에서 숭늉 찾는 일이다. 부모가 자식을 돌보고 기르듯, 자식 또한 부모에게 마음을 다 하는 일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그 기본이 흔들리는 소리가 명절마다 터져 나오는 현상을 단순하게 볼 일이 아니다. 세상의 모든 부모는 모두 누군가의 자식이었다. 자식 또한 누군가의 부모가 되는 도리를 원하지 않거나 원할 수 없는 세상이 되어 각자도생의 길을 모색하며 워라밸을 꿈꾸고 현재만을 즐기자는 욜로가 유행이다.

 

이제는 설날이 설레는 날이 아니라 고부간의 갈등이나 가족 문제가 표출되는 아름답지 못한 모습으로 회자되는 날이 되어버린 현실이 안타깝다. 물질만능주의 세상에서 최상의 교육, 최고의 덕목으로서 효의 가치는 땅에 떨어진지 오래다. 아버지의 권위가 사라지고 선생님을 '쌤'이라 부르는 세태가 그걸 반영하고도 남는다.

 

언어의 한계가 인간의 한계' 라고 일갈한 밀란 쿤데라의 말은 매우 지당한 표현이다. 우리나라 언어는 듣는 사람에게 어울리는 낱말을 가르치고 배우게 한다. 매우 다양한 표현 속에 말하는 사람이 지닌 인간의 품격까지 짐작할 수 있다. '효'의 시작은 언어를 바로잡는 데서 비롯된다. 돌아오는 설날에는 제대로 된 호칭을 가르칠 일이다. 부모에게 반말하는 세태부터 고쳤으면 좋겠다. 친근함이 지나쳐 버릇없음으로 가는 잘못을 막는 것은 바로 바른 언어사용법에 있다. 토인비가 부러워한 가족 제도의 아름다움을 지키는 설날이기를!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