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4.11.20 (수)

  • 구름조금동두천 7.3℃
  • 맑음강릉 11.6℃
  • 흐림서울 8.5℃
  • 흐림대전 9.3℃
  • 구름많음대구 11.5℃
  • 구름조금울산 10.0℃
  • 구름많음광주 11.1℃
  • 구름조금부산 12.2℃
  • 흐림고창 9.7℃
  • 흐림제주 13.0℃
  • 구름조금강화 5.9℃
  • 흐림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9.0℃
  • 흐림강진군 12.2℃
  • 구름조금경주시 10.9℃
  • 구름많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장애인은 동정과 자선의 대상?”

초등학교 교과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 세미나


초등학교 교과서에는 영어, 음악, 수학 교과서를 제외한 모든 교과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교과서 속에는 장애인을 다르게 보지 말자고 주장하는 글도 있고 사진과 함께 정보를 주는 글도 있지만 무엇보다 장애를 가진 아이가 나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짧은 동화가 많다. 그러나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들 동화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하는 것은 ‘장애인을 동정과 자선의 대상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렇다. 교과서를 읽다보면 어떤 방식으로 접근을 시도해도 결론은 ‘장애인을 도와야 한다’는 것으로 점철된다. 이것은 과연 옳은 시각일까. 13일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와 국립특수교육원이 주최한 ‘장애인 인식개선 세미나’에서 발표된 ‘초등학교 교과서 장애관련 내용 분석’(김수연 경인대 교수)에서는 꼭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안 될 장애를 보는 교과서의 편향된 시각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 주목을 받았다.

‘앉은뱅이저울’등 장애 결부 표현 지양해야
교과서 수록 장애관련 용어= ‘장애’ 또는 ‘장애인’이라는 용어는 초등 2학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며 그 범위는 시각, 청각, 지체장애에 국한된다. 용어의 정의 면에서는 국어교과서의 ‘소아마비’ 설명에서 보듯(‘성장통’과 비유하면서 겁을 내는 모습, 또는 ‘창백하고, 마른, 소아마비를 앓는’ 등과 같이 전형적인 모습으로 묘사) 정확한 정보가 결여되어 있는 것이 문제다. 또 생활의 길잡이 4학년 2학기에 ‘점자블록’ 이라는 용어가 이미 제시되어 있는데, 6학년에는 오히려 더 쉬운 용어인 ‘울퉁불퉁 보도블럭’ 으로 나오는 등 용어 사용의 계열성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밖에 사회과 탐구(5학년 2학기)에서 ‘뇌성마비 장애인’과 같이 장애를 나타내는 용어가 이중으로 사용되어 장애를 더욱 부각시키는 경우, 과학과의 ‘앉은뱅이저울’처럼 실험 기구 명칭에 장애의 신체적 특성을 결부시켜 놓은 것이나 절름발이식 행정, 눈먼 인사, 장님 코끼리 만지기식 ○○ 등 장애의 결함만을 강조하는 식의 표현은 자제되어야 한다고 지적됐다.

장애·일반학생 함께 상호작용 삽화는 1건 뿐
묘사에서 드러난 교과서의 장애인관=교과서에 나타난 장애인은 대부분 봉사 및 도움을 제공받는 대상으로 묘사되어 있다. 삽화의 대부분은 휠체어를 밀거나, 목발 짚은 아동의 가방 들어주기 등 매우 상투적인 것이 태반이다. 도덕 교과서 4학년 2학기에 제시된 ‘꿈을 꾸게 해주세요’라는 동시는 아동들이 장애인의 마음을 헤아려볼 수 있도록 제시된 것으로 보이지만 꿈에서라도 ‘정상인’이 되고 싶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현실에서의 장애인을 지나치게 ‘정상’에 비해 ‘비정상’인 것으로 묘사, 동정심을 유발하고 있는 것. 장애가 있는 친구는 무조건 도와주어야만 하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다면 수평적인 관계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사람과 장소(people and places)’(Scott Foresman Series, 2003)에서 휠체어를 탄 사람들이 혼자서 휠체어를 타고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구경하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생활의 길잡이 교과서에 수록된 ‘오토다케 히로타다’라는 실존인물에 대한 이야기는 7차 교육과정에서 장애인식 개선을 위해 새롭게 삽입된 제재. 그러나 이 역시 장애를 극복한 개인의 영웅적인 면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된다. 장애학생이 일반학생과 함께 수업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묘사된 것은 전 교과를 통틀어 과학 교과서(4학년 2학기)에 제시된 1개의 삽화뿐이라는 점도 교과서의 장애인관을 여실히 증명하는 사례다.

이밖에 초등학교 교과서 도덕 및 생활의 길잡이,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에 장애체험 활동이 제시되어 있는데, 학년이 달라져도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학년별로 장애체험 활동이 계열성 있고, 장애체험 활동의 목표가 장애의 불편함을 아는 것으로 그치지 않도록 다양한 교수 방법이 안내되어야 한다. “내가 만일 휠체어를 타고 영화를 보러 가고 싶다. 어떻게 가야 하나? 무엇이 문제일까? 볼 수 는 있을까? 가는 데 몇 시간, 오는 데 몇 시간이 걸리나?” 하는 현실의 문제를 묻고 실제로 경험해보는 교육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