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구약 성서> 시편 51편은 통렬한 참회의 장이다. 누가 참회하는가. 유대의 왕 다윗이 신에게 참회한다. 다윗은 유대의 역사가 받드는 위대한 영웅이다. 그래서 마태복음도 예수가 다윗의 계보에 속함을 밝힌다. 그런 다윗이 처절 비통하게 참회한다. 무슨 잘못인가? 그는 신하인 우리아 장군의 아내 밧세바를 범하여 자기 아내로 삼는다. 그리고는 우리아를 전쟁터로 보내어 죽게 한다. 성서는 다윗의 죄를 책하면서도 이 통절한 참회를 깊숙이 새겨 둔다. 두터운 믿음에서 우러나는 진정한 회개는 거듭남을 향하는 문임을 성서는 가르친다.
아무튼 그 참회의 토로가 시편 51편이다. 17세기 초, 교황청의 작곡가이자 사제인 그레고리오 알레그리(Gregorio Allegri, 1582~1652)는 1638년 이 시편 51편을 가사로 작곡을 했다. 그 곡에 ‘미제레레(miserere)’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참회의 곡 - 주여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뜻이다. 인간의 목소리를 신의 은혜로운 선물로 여기는 중세 가톨릭의 전통에 따라, 이 미제레레 성가는 변성기 이전 소년들의 목소리로 아카펠라 방식으로만 불렀다.
당시 교황 우르바노 8세(1568~1644)는 이 성가에 담긴 거룩함과 회개의 영성이 극진하여, 함부로 아무 데서나 이 노래를 합창하는 것을 엄하게 제한했다. 일 년에 한 번, 즉 매년 성금요일(예수가 십자가 고난을 겪은 금요일)에만 부르도록 지시했다. 장소도 제한했다. 반드시 성 시스티나 경당의 교황청 전례가 열리는 곳에서 부르도록 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이 거룩한 노래가 세속에 나도는 것을 금하여, 악보의 필사를 금하고, 단 3부만 보관하도록 했다.
1770년 성금요일에 로마 시스티나 성당에 온 14세 소년 모차르트는 132년 동안 봉인됐던 ‘미제레레’를 들었다. 큰 울림과 깊은 인상을 받은 모차르트는 듣자마자 이 곡을 다 외워 버렸다. 시스티나 성당을 나온 소년은 그날 밤 미제레레를 악보로 재현하였다. 당시 클레멘스 14세 교황은 소년 모차르트를 불러서 그가 필사본을 훔친 것이 아니라, 듣고 외워서 악보로 재현했음을 확인한다. 교황은 모차르트의 재능을 축복하고, 미제레레를 세간에서 부르고 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우기의 승리’로 이만한 것이 있을까. 외우는 능력은 그 자체로도 복이거니와, 때로는 남에게 이로움을 주는 이타행(利他行)이 될 수 있음을 모차르트가 보여 준다.
02 모차르트는 이 긴 성가를 딱 한 번 듣고, 어떻게 그걸 다 악보로 재생해 내었을까. 천재라서 그런가? 천재는 그냥 가만있어도 자동 녹음되듯 악보가 뇌에 저장되는 걸까. 그럴 리는 없다. 분명 그의 내면에 그걸 외우도록 이끌었던 그 무엇이 있었을 거다.
소년 모차르트는 로마에 오기 전에 이미 이 미제레레의 존재를 알고, 매우 강한 호기심을 가졌다고 한다. 호기심! 이것이 외우기를 향하는, 첫 번째 동력이다. 또 이걸 악보로 재현해서 세상에 알리고 싶은 강력한 동기(motivation)가 있었을 거다. 동기! 두 번째 동력이다. 그는 얼마나 세심하게 주의하여 이 곡을 들었을까. 놀라운 몰입과 집중력을 발휘했을 것이다. 몰입과 집중! 이것이 세 번째 동력이다.
이것 말고도 소년 모차르트가 미제레레를 외워서 가지고 나가야 하는, 그만의 절대적 필요가 작용했을 것이다. 확인할 길 없지마는, 자신의 재능을 자랑하고 싶은 욕망도 없다고는 못하리라. 무언가를 외우도록 하는 동력은 모차르트 같은 천재에게만 있는 걸까. 아닐 것이다. 평범한 사람들에게도 외우기를 이끌어 올리는 동력은 있다. 앞의 세 가지 동력은 누구에게나 있다. 천재들의 영역으로만 밀쳐 둘 일은 아니다. 개발하기 나름이다.
이쯤에서 중학교 시절 교실풍경이 비집고 든다. 중학교에 들어가니 영어 암송대회가 있었다. 그냥 일회성 대회가 아니라 전교생이 다 참여하여 두 달 이상 진행하는 암송대회이다. 개인전과 단체전이 있어서 전교생 모두가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해야 한다. 대회는 서바이벌 게임 방식으로 진행하는데, 영어 선생님들 간에도 은근 경쟁이 되어서 우리는 혹독한 영어 외우기의 시련에 내몰렸다. 이 영어 암송의 연습과정이 시련으로 점철되었던 것은, 그 수많은 중간 점검의 단계들마다 주로 벌칙의 피드백을 받는 걸로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벌이 두려워 사생결단 외우기에 나서는 것이다. “외국어의 ‘외’는 외운다는 뜻의 ‘외’이다”라고 말씀하시던 선생님도 계셨다. 그때는 왜 그리도 칭찬의 보상은 드물고 드물었는지. 꾸중과 질책은 왜 그리도 범람했는지!
대학 학부시절에 은사이신 이응백 교수님(1923~2010)의 ‘한문 강독’ 수업은 <고문진보(古文眞寶)>의 한문 명문들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당나라 한유(韓愈)의 ‘사설(師說)’이나,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나, 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 등을 모두 그때 배웠다. 선생님께서는 수업이 시작되면 흰 백지 한 장씩을 나누어 주시며, 지난주에 배웠던 글을 원문 그대로 외워서 써내게 하셨다. 제대로 외워서 써내지 못한 사람은 선생님 연구실로 따로 와서 외운 걸 써내어야 했다. 그냥 배워서 이해하면 되지, 꼭 이렇게 외워서 써내어야 하나? 불평들이 있었지만, 선생님은 요지부동이셨다. 말씀인즉 한문공부란 한문의 문리(文理)를 터득하는 데 있는데, 문리 터득의 방법은 외우는 것뿐이라 하신다. 고백하자면, 나는 이 일로 선생님 연구실에 따로 간 적이 두 차례 있었다. 그 어색하고 뻘쭘하고 후회스럽고 면구스러운 기분은 지금도 생생하다.
이렇게 시련과 고생으로 점철되었던 내 외우기의 시절들, 그 암송의 체험과 학습은 나에게 어떤 지적 자양으로 쌓였을까. 이제 이만큼 지나오고 생각하니, ‘나쁘지 않았다’라는 고백을 아니할 수 없다. 스쳐간 지식과는 달리, 외워 둔 지식은 내 안에서 온전하게 살아서 생장한다. 나와 특별히 친숙해진 지식이므로 나는 그것을 자유자재로 끄집어낸다. 그리고 적용하고 연결하고 전이하고 융합한다. 내 안에서 발효하는 지식으로 부가가치를 생성한다. 물론 나쁘지 않다.
03 외우기 기능(skill)은 기억능력의 한 부분이다. 곰곰 생각해 보면 학습의 바탕에는 인지를 견고하게 하는 ‘기억의 힘’이 있다. ‘기억의 힘’은 ‘외우기의 힘’에 의존한다. 선뜻 동의하기 어려운가. 외우기라고 하면 ‘무조건 외우기’, ‘억지로 외우기’, ‘기계적 외우기’ 등의 폭력적 경험을 먼저 떠올리기 때문이리라. 그런 외우기가 외우기를 대표할 수는 없다. 진정 바람직한 학습은, 외운다는 생각 없이, 나도 모르는 사이에 외우게 되는 기제로 이루어진다. 아마 모차르트도 그러하지 않았을까. ‘외우다’를 영어로는 ‘learn by heart’라고 한다. 외우기의 본질이 ‘입으로 외우기’에 있지 않고, ‘마음(심장)으로 외우는 데 있음’을 보여 준다. 국어사전도 ‘외우다’를 ‘마음에 새겨 잊지 아니하다’라는 뜻으로도 풀어놓고 있다.
사실 아무리 새로운 학습방법이라 하더라도, 그 기본바탕에 ‘외우기’의 기제를 완전히 배제하는 학습이란 있을 수 없다. 아무것도 기억하지 말고 학습을 수행하라는 것만큼이나 비현실적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외우기를 교육적으로 바람직하게, 현대 교육의 생태에 맞게 리모델링하는 것이다. 학습자에게 친화적으로 다가가는 ‘외우기 활동(Activity of Learning by Heart)’은 없을까. 모차르트의 사례에서 보듯, 텍스트에 대한 호기심 발흥, 강력한 동기(motivation) 생성하기, 몰입과 집중의 체험 쌓기, 외우기의 절대적 필요성 발견하기, 외워서 얻는 효용성 경험하기 등이 외우기 활동에 함께 따라붙으면 좋을 것이다.
나는 교단에 있는 동안 시를 가르쳐 왔는데, 젊은 시절에는 이른바 신비평의 방법으로 가르쳤다. 왠지 그 방법이 합리적이고 학구적인 듯 보였다. 시를 외우게 하는 지도법은 고리타분하다고 여겼다. 지금 생각하면 그것은 편견의 일종이었다. 그러면서 시 교육의 효과를 연구하고 점검하였다. 50 중반을 지나면서 나는 시를 외우도록 하는 데에 크고 넉넉한 이점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시는 인생론적 의의를 발효하게 하는 정서적 성장 호르몬과도 같은 것임을 체득하였다. 우선은 자작시를 쓰고, 그걸 암송하게 하는 방법으로 시작하였다. 암송의 자기주도성을 살려 보려고 했다고나 할까. 나쁘지 않았다. 아니 좋았다.
이제 새 학년이 시작하는 삼월이다. 선생님들은 교실에서 새로 만나는 아이들의 이름을 빠르게 외워주는 일로 삼월을 시작할 것이다. 교육의 시작이 외우기에 있음은 여기서도 확인된다. 물론 가슴으로 외우고, 심장으로 외워야(Learning by Heart)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