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다운식 교육과정 개정에 혼란 잦은 정책 변화…학력저하 주범 정치적 중립,학교 자율화 요구 우리나라에서는 백년지대계인 교육정책이 정치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갖고 교총 등이 초정권적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정치 개입으로 학교현장이 황폐화 되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닌 모양이다. 영국에서도 정치권과 독립된 위원회에서 학교 교육정책을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교육기준청(Ofsted)장을 역임한 데이비드 벨 영국 과학교육학회 회장(레딩대 부총장)이 9일 레딩대에서 열린 과학교육학회 연례학술회의 대회사를 통해 이 같은 주장을 했다. 벨 회장은 정치권이 개입하는 잦은 정책 변화를 학력저하의 주범으로 지목했다. 그는 “근시안적인 정치권의 압력에 교육이 약화되고 있다”면서 “선거를 앞두고 나오는 대책과 개혁안들은 교육을 파괴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장관의 성향에 따라 교육과정이 바뀐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일”이라며 “이번 의회 회기 동안만큼이라도 교육과정, 평가 기준, 학교 구조를 바꾸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교육의 정치장화’를 막기 위해 그가 제시한 대안은 정치권력으로부터 독립된 위원회가 장기적인
17세 청소년 교육·훈련 의무화 직업훈련 제공 시 보조금 지급 NEET 집계 이래 최저치 기록 영국 교육부는 지난달 2일 그동안 시행해온 청소년 감소 정책의 결과 학업중단학생 중 수천 명이 16세 이후에도 정규 교육이나 직업훈련을 받게 됐다고 발표했다. 영국은 법정 의무교육 연령이 16세로 규정돼 있다. 이 연령이 지나면 반드시 학교에 다닐 의무가 없기 때문에 학업을 중단학교 학교를 떠난 학생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학자(離學者, school leaver)’라 부른다. 일종의 중도 학업중단인 셈이다. 이런 학생들은 보통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직업에 필요한 훈련도 돼 있지 않아 교육도 받지 않고, 취업 준비도 하지 않는 니트(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족이 되곤 했다. 그러나 2008년 제정된 ‘교육훈련법’은 의무교육 연한인 16세를 지난 청소년에게도 18세 이전까지는 교육 또는 직업훈련을 받을 의무를 부과했다. 이 의무는 2013년부터 17세까지 적용됐다. 추후 2015년부터는 18세까지 적용된다. 이들은 학교, 평생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소속 과정에서 전일제 교육을 받거나 전일제 직업훈련, 정식
국제이해 프로젝트 학습 진행 지리·역사·문화 연계 기본으로 인도미술 이해에 수학 등 활용 교과서도 다문화 관점서 구성 외국인으로 영국 땅, 특히 런던에 살면서 인종차별을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민족이 서로 섞여 살아가는 이 대도시는 그런 가운데서도 조화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영국이 1215년 대헌장(Magna Carta)을 선포하면서 인권과 민주주의의 첫발을 내디딘 선구자로서 조상들이 표방하고 추구해왔던 인권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한 데다 이를 실제로 실천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일이 몸에 배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민족을 수용하면서 살아가는 일에서도 서로 토의하고 공유하면서 개선책을 찾아가려고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의 인종차별에도 불구하고 조화가 유지되는 것이다. 영국 교사들이 연구와 토론을 통해 찾은 방법은 다문화 감수성을 높이는 수업이다. 일례로 이 나라의 다문화 가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인도의 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10주 동안 매주 한 시간씩 진행되는 ‘인도 미술 작품 만들기’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다.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탐색하며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