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창가에서> 아이들을 보는 선생님의 눈
학교 사회에서는 3월을 정월(正月)이라 생각한다. 새 학기가 시작되는 달이기 때문이다. 그런 3월이면 ‘교육’이라는 두 글자에 가슴이 뛰는 새내기 교사들이 교육현장에 같이 하게 된다. 요즘 신규교사들은 고교 시절 최소 상위 10%에 들던 우수 인재들이다. 그런 인재들이 교육대학을 지원하고 체계적인 양성 교육을 거쳐 자질과 소양을 쌓은 후 교직에 입문해 그들의 역량을 마음껏 발휘하는 교육현장을 바라보는 것 참으로 마음 든든한 일이다. 그런데 걱정은 이런 우수 인재들이 마주 대하는 학교라는 현장은 대학에서 이론이나 서책으로만 대하던 것과는 너무 판이하게 다르다는 사실이다. 공부에 전부를 걸어야 하는 것이 그동안 새내기 교사들이 살아온 삶의 짧은 궤적일 것이다. 공부를 잘해야만 교대에 입학할 자격이 주어지고 입학한 후에도 오로지 임용고시에만 매진해야 하는 시스템이 오늘의 교원양성체계이다. 그러다 보니 주위를 둘러볼 수 있는 여유, 다른 사람에 대한 따뜻한 배려, 나를 희생하는 헌신 등의 인간적 자질과 품성을 함양할 기회가 없었던 것 또한 사실이다. 교사로서의 품성과 자질은 이론만으로는 습득할 수 없다. 인간에 대한 배려,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는 따듯한 감성 등은
- 이병로 충남 서산 서림초 교장
- 2011-03-14 0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