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총은 1980년부터 일본교육연맹과 매년 교류하면서 교육 현안과 상호 관심사에 대해 논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 왔다. 9~11일 일본에서 열린 36회 한일교육문화교류회에서는 이타바시구립 카미이타바시 제2중학교 견학과 양국의 등교 거부 문제에 대한 연구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공간 재구성 통한 변화 인상적
카미이타바시 제2중학교는 도쿄도 이타바시구에 위치한 공립중학교로 2025년 현재 1, 2학년 5개 반, 3학년 4개 반 246명의 학생과 23명의 교사, 4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지역 학생 수 감소로 인근 중학교와 통합했다. 2023년 완공된 학교 건물은 동서남북 어느 곳에서나 접근이 가능한 미디어 센터를 중심으로 중앙 계단(독서, 발표, 휴식 공간 역할을 하도록 설계됨)과 연결돼 있다.
이 학교는 교과교실형 수업 방식을 운영하고 있어 3층과 4층에 4개씩 있는 교과 수업 교실 간 이동이 빈번했다. 학급별로 개인 사물함이 있는 작은 공간에서 담임 선생님과의 조례 등 활동이 이뤄지고, 이후 교과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받는다. 이동 과정에서 미디어 센터 등의 공간에서 타 학급, 타 학년과의 접촉이 빈번한데, 이러한 접촉을 통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이 장점이었다. 또 각 교실 벽에 걸려있는 학교 교훈 ‘자율, 도전, 책임, 존중’은 학생들의 건의, 토론, 규칙 제정 및 수정 등의 과정에서 학생 참여를 보장하기 위한 학교 운영 방침과 특징을 보여줬다.
학생 수 감소로 인한 학교 통폐합과 공간의 재개념화를 통한 수업 방식의 변화, 학생 간의 교류 권장 등은 여러 측면에서 시사점을 줬다. 특히 등교 거부 문제는 일본의 교육 현실을 보여줬다. 일본의 등교 거부에 대한 야나기사와 타다오 이타바시 제2중학교 교장의 발표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2023년 문부과학성 조사에서 초등학생 13만370명, 중학생 21만6112명이 학교에 가지 않고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에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배움 보장을 위한 등교 거부 대책’ 등을 수립·실행하고 있었다.
등교 거부 이유로 학교생활에 대한 의욕 저하(32.2%), 불안·우울(23.4%) 등이 나온 것은 개인이 아닌 사회적 문제로서의 특징을 보여줬다. 학교기능 활성화를 위해 배움 다양화 학교(이른바 등교 거부 특례학교) 설치와 교사, 상담사,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학교 상담팀 운영, 비영리단체(NPO) 및 프로스쿨(대안학교와 유사)과의 연계 등 다차원적 다층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행정적·재정적·제도적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들이 여전히 산적해 있는 상황이다.
학업 중단 대책 추진에 공감
중학생 6.7%가 학교에 가지 않는다는 것은 우리에게도 시사점이 크다. 학교생활에 대한 의욕 저하나 불안·우울 등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것이기에 학업 중단 숙려제 개선 및 확대, 대안교실 등 교육 시스템 개선, 심리 상담 강화 및 온라인 학습 활용 등을 포함한 학업 중단 희망 학생에 대한 대처방안을 진중하게 고려해야 할 때다. 소 잃고라도 외양간은 고쳐야 한다. 잃기 전에 고칠 수 있다면 더 좋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