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2학기 개학을 맞은 전국의 선생님들에게 띄우는 편지

“그날, 그 선생님은 조용히 교실을 정리하고 나가셨다. 책상 위에는 아이가 쓴 쪽지가 남겨져 있었다. ‘선생님, 오늘도 웃어주셔서 고마워요.’ 하지만… 우리는 그 마지막 미소가 그렇게 무거운 것인 줄 몰랐다.” 매년 우리는 아까운 선생님들이 극단 선택으로 교단을 떠나는 일들을 지켜보아 왔고 지금 이 순간도 여전히 걱정스러운 마음이다.

 

지금은 2025학년도 2학기를 맞이해, 학교별로 새로운 희망을 간직한 채, 늦더위가 가시지 않고 여전히 무덥고 폭염에 휩싸인 교실에서 마지막 여름나기를 하고 있다. 지난 학기에 이어 이번 가을에도 수확에 들어가기 전에 마무리해야 할 교육활동을 점검하며 전력을 다해 수업에 임하고 있을 것이다. ‘뿌린 대로 거둔다’는 진리는 이 가을에 어떤 결과로 돌아올지 설레는 마음으로 오늘도 묵묵히 아이들과 함께할 선생님들의 모습을 그려 본다.

 

최근 몇 년에 걸쳐서 전국의 학교는 교권이 무너진 자리에서, 선생님들은 홀로 아팠고, 결국 삶을 내려놓기도 했다. 그 자리에 남겨진 아이들은 울었고, 동료 교사들은 말을 잃었다. 그러나 그 누구보다 무너졌던 것은, “교육은 희망이어야 한다”고 믿었던 우리 모두의 마음이었다.

 

교실이라는 전쟁터

지금, 대한민국의 교실은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가르치기보다, 고발당하지 않기 위해 조심해야 하는 공간, 혼내는 것도, 칭찬하는 것도, 심지어 손을 잡아주는 것조차 ‘아동 학대’로 비춰질까 무서운 나날들이 지나고 있다. “학생과 눈을 마주치는 게 두렵다”고 말하는 젊은 교사, “나는 매일, 내 이름이 고소장에 적힐까 봐 떨린다”고 고백하는 중견 교사, 상황이 이러할 진 데 누가 이들을 이렇게 만들었을까?

 

악성 민원, 교사도 사람이다

“왜 숙제를 안 시켰느냐”, “왜 우리 아이에게 사과를 안 시켰느냐”, “담임이니까 무조건 책임지세요”. 때로는 말 폭력으로, 때로는 고소·고발로, 교사들을 옭아매는 일부 학부모들의 ‘갑질 민원’이 도를 넘고 있다. 그 민원 앞에서, 교사는 한 번도 ‘피해자’로 불리지 못했다. 법은 ‘학생의 인권’을 보호했지만, 교사의 존엄은 외면했다. 행정은 ‘보호자와의 협력’을 말했지만, 교사의 목소리는 들어주지 않았다. 결국 교사는, 자신의 교실에서조차 외롭고 무력한 존재가 되어버렸다.

 

우리는 교육이 무너지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다. 하지만 “그럴 수도 있지”하며 외면했다. “별일 아니겠지”하며 가볍게 넘겼다. 그리고 너무 늦게, 너무 많은 선생님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선생님, 괜찮으세요?”라고 서로 묻기 시작했다. 이제는 정말, 선생님들을 지켜야 한다. 교사 한 사람은, 아이 백 명의 세상이다. 한 교사가 무너지면, 그 교실의 아이들은 희망을 잃는다. 한 교사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면, 수많은 아이들이 죄책감과 상처를 짊어지게 된다. 그리고 그런 일이 반복되면, 우리 사회 전체가 무너질 것이다.

 

교육은, 누군가의 삶을 가르치는 일이기에 가장 따뜻하고, 가장 보호받아야 할 직업이어야 한다. 교사는 아이들의 거울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리는 이제, 그 거울이 더 이상 금 가고 깨지지 않도록 단단한 울타리가 되어야 한다.

 

작은 위로, 큰 응원으로

올해 2학기는 제발 조용히 지나고, 아무런 비보가 전해지지 않기를 두 손 모아 빌어 본다. 그리고 이미 이승을 떠난 선생님들께 말하고 싶다. “선생님, 잘못은 당신이 아니었습니다. 당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충분히 지켜주지 못해서 벌어진 일이었습니다. 당신의 눈물, 충분히 아팠습니다. 당신의 침묵, 이제는 우리가 들어야 합니다. 당신의 고통, 더 이상 혼자 두지 않겠습니다.”

 

변화를 위해 필요한 것들

우리는 이제 작금의 교육 현장의 모습을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 여기에는 교권 보호법의 실질적 강화가 이루어져서 교사를 향한 악성 민원·무분별한 고소에 대해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법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 학부모 민원 교육의 의무화를 통해 학부모 또한 ‘교육의 주체’로서 올바른 소통을 배우고 실천해야 한다. 심리 치유 시스템을 구축하여 트라우마에 빠진 교사들을 위한 전문적인 상담과 치유 프로그램이 일선 학교에서 일상화되어야 한다. 전국 단위 ‘교사 존중 캠페인’ 실시를 통해 교사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맺으면서 오늘도 아이들과 하루나기가 힘겨운 전국의 선생님들께 드리는 편지를 띄우고자 한다.

 

“존경하는 선생님, 오늘도 당신은 아이들의 이름을 불렀고, 그 작은 손을 잡아 주었습니다. 누군가는 알아주지 않아도, 그 아이는 당신의 따뜻한 눈빛을 기억할 것입니다. 누군가는 무례했지만, 그 교실은 당신 덕분에 무너지지 않았습니다.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당신이 떠나면 안 되는 이유를, 당신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이제는 온 나라가 말하고 있습니다. 부디 기억해주세요. 당신은 아이들의 빛이자, 이 사회의 마지막 희망임을 말입니다. 그리고 부디, 그 빛이 꺼지지 않도록 앞으로는 우리가 지켜드리겠습니다. 힘내세요. 파이팅입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